Korean J Fam Pract 2021; 11(3): 191-196  https://doi.org/10.21215/kjfp.2021.11.3.191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hs-CRP Blood Levels in Korean Adults: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8
Mi Hee Ahn, Yu Jin Eom, Young Kyu Par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Bundang Jesaeng Hospital, Seongnam, Korea
Young Kyu Park
Tel: +82-31-779-0152, Fax: +82-31-779-0169
E-mail: pyk0706@dmc.or.kr
ORCID: https://orcid.org/0000-0001-6095-7136
Received: August 18, 2020; Revised: April 3, 2021; Accepted: April 22, 2021; Published online: June 20, 2021.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Background: In previous studies, C-reactive protein (CRP), interleukin (IL)-6, and IL-1 increased in depressed patients. Experimental and clinical evidence has reported that inflammatory mediators can induce symptoms of depression. Therefore, using the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we inte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elevated hs-CRP.
Methods: Among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aged 20–65, people with no missing values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selected for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health questionnaire survey. A total of 3,743 participants were selected, excluding those who could be suspected of having malignant tumors, autoimmune diseases, or inflammatory conditions. An hs-CRP level of 2.2 mg/dL or higher was considered to show an increase in CRP. A cut-off score of 10 points was established on the PHQ-9, and a score of 10 or more indicated depression.
Results: In Model 1 with adjusted age and sex, P=0.007 and OR=1.849. In Model 2, adjusted for age, sex, alcohol, and smoking, P=0.014 and OR=1.738. However, in Model 3, in which education level and stress perception rate were additionally controlled for, P=0.066 and OR=1.540,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s-CRP elev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raws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depressive disorder and elevated blood hs-CRP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the entire population.
Keywords: Depression;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9; Inflammation
서 론

2011년 국내 정신질환실태 연구에 의하면 한국 성인의 주요우울장애 유병률은 여성 9.1%, 남성 4.8%로,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1) 세계보건기구(WHO)는 인류 10대 질환 중 우울증을 3위로 보고하였으며, 2030년이 되면 1위가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2) 우울증이 사회문제로 주목받는 이유는 환자의 사회적, 개인적 기능이 손상되며, 삶의 질이 크게 위협받기 때문이다.3) 또한, 자살로 인한 조기 사망은 막대한 사회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4) 우울증 환자는 동기 저하와 무기력이 동반되며 정신적, 육체적 에너지가 감소하여 신체활동이 저하되고, 섭식장애가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이는 장기적으로 대사장애로 이어질 수 있고, 대사증후군 및 관련 다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5,6)

대규모 메타분석 결과, 우울한 환자에서 acute phase protein인 C-reactive protein (CRP)과 interleukin (IL)-6, IL-1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이 증가해있었다.7) Irwin과 Miller8)는 우울증과 혈중 높은 CRP, IL-6 농도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20년간 고찰을 통해 Dantzer 등9)은 염증매개물질이 우울증의 행동학적, 심리적 증상을 유발한다는 실험적, 임상적 증거를 보고하였다. 우울증 환자는 생리적으로 만성적 염증상태 또는 전 염증상태에 있다는 것이다.10) CRP는 low-grade inflammation 상태를 나타내는 좋은 지표이며, IL-1과 IL-6의 자극에 의해 간세포에서 합성, 분비된다.11,12) 특히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측정기술개발로, CRP를 0.3 mg/L 이하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만성 염증에 의한 경도 CRP 상승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13,14)

본 연구에서는 2018년도 제7기 3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우울증과 hs-CRP 혈중농도 상승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8년 제7기 3차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총인원 7,992명 가운데 만 20세 이상, 만 65세 이하 성인 남녀 중 건강설문자료와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에 대해 누락 없이 작성하고, 검진조사에서 결측값이 없는 자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악성종양, 자가면역 질환자, 백혈구 10,000 cell/μL 이상 또는 hs-CRP 10 mg/dL 초과15) 중 하나라도 해당하는 사람을 제외하여 총 3,74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연구 설계

우울증 유병 여부는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인 PHQ-9 10점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PHQ-9는 우울장애 선별을 위한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DSM-IV의 우울삽화 진단기준과 일치하게 고안되었으며, 9가지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항목당 0점에서 3점까지 증상의 정도에 따라 선택을 하고 합을 내는 것으로, 총점은 27점이며, 일반적으로 10점 이상일 때 우울증에 대한 절단점(cut-off point)으로 설정한다. 이는 우수한 민감도(81.8%)와 특이도(89.9%)를 가지며, 기존 우울선별척도에 비해 문항 수가 적어 일차의료에서 적합한 도구로 평가된다.16) CRP 상승 기준은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2.2 mg/L 이상을 상승한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hs-CRP 2.2 mg/L 미만을 low hs-CRP군, hs-CRP 2.2 mg/L 이상을 high hs-CRP군으로 설정하였다.17-19)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에 기입된 나이, 성별, 음주, 흡연, 신체활동빈도, 교육 수준, 소득수준, 평균 수면시간, 스트레스 인지율,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중성지방(triglycerides, TG),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 이완기 혈압(diastolic blood pressure), 공복혈당(fasting blood glucose, FBG), 허리둘레(waist circumference, WC) 등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지표와 생활습관 관련 건강변수를 확인하였다. 최근 1년간 월 1잔 이상 음주를 기준으로 음주군과 비음주군으로 구분하였으며, 현재 흡연군과 비흡연군(과거흡연 포함)으로 구분하였다. 교육 수준은 초등학교 졸업 이하, 중학교 졸업, 고등학교 졸업, 대학교 졸업 이상의 4군으로 나누었고, 소득수준은 월평균 가구소득을 사분위로 나누어 하, 중하, 중상, 상으로 구분하였다.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일주일에 중강도 신체활동(숨이 약간 차거나 심장이 약간 빠르게 뛰는 활동)을 2시간 30분 이상하거나, 고강도 신체활동(숨이 많이 차거나 심장이 매우 빠르게 뛰는 활동)을 1시간 15분 이상 하는 경우와 중강도, 고강도 신체 활동을 섞어서(고강도 1분은 중강도 2분) 각 활동에 상당하는 시간을 실천하는지에 따라 운동군, 비운동군으로 나누었다. 평균 수면시간은 7시간 미만과 이상으로 나누었으며,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따라 대단히 많이 느낌, 많이 느낌과 조금 느낌, 거의 느끼지 않음으로 구분하였다. BMI는 (체중/신장2 [kg/m2]) 공식에 의해 BMI 25 kg/m2 이상을 비만군, 25 kg/m2 미만을 정상군으로 나누었다.

3. 통계 분석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hs-CRP 분류에 따른 일반적 특성, 사회경제적 지표, 건강 관련 변수를 확인하기 위해 연속형 변수의 평균값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였다. 범주형 변수의 빈도수는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활용하였으며, PHQ-9에 의한 남녀의 hs-CRP 평균값은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우울증과 hs-CRP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나이, 성별, 음주, 흡연, 스트레스 인지율, 교육 수준을 3단계로 나누어 보정하였다. 분석모형 1에서는 나이와 성별을 보정하고, 분석모형 2에서는 나이, 성별에 음주와 흡연을 추가보정 하였으며, 분석모형 3에서는 나이, 성별, 음주, 흡연, 교육 수준, 스트레스 인지율을 보정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표본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든 분석 시 층화, 집락,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IBM SPSS statistics ver. 22.0 (IBM Co.,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정의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지표

전체 3,743명 중 low hs-CRP군 3,366명, high hs-CRP군 377명이었다. 평균나이는 low hs-CRP군 45.33세, high hs-CRP군 46.04세로, high hs-CRP군에서 0.71세 높게 나타났다. 성별은 low hs-CRP군에서 남자 1,507명(44.8%)과 여자 1,859명(55.2%)이었으며, high hs-CRP군에서 남자 178명(47.2%)과 여자 199명(52.8%)이었다. 흡연군은 low hs-CRP군 692명(20.6%), high hs-CRP군 88명(23.2%)이었고, 음주군은 각각 2,064명(61.3%)과 229명(60.7%)이었다. 소득은 low hs-CRP군에서 소득 하 275 (8.2), 중하 794 (23.6), 중상 1,049 (31.2), 상 1,248 (37.0)이었고, high hs-CRP군에서 하 43 (11.4), 중하 86 (22.8), 중상 121 (32.1), 상 127 (33.7)이었다. 교육 수준은 low hs-CRP군에서 초졸 이하 241 (7.2), 중졸 263 (7.8), 고졸 1,302 (38.7), 대졸 이상 1,560 (46.3)이었고, high hs-CRP군에서 초졸 이하 37 (9.8), 중졸 33 (8.8), 고졸 118 (31.3), 대졸 이상 189 (50.1)로 나타났다.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기준에 합당한 군은 low hs-CRP에서 1,537명(45.7%), high hs-CRP에서 171명(45.4%)이었으며, 평균 수면시간 7시간 미만은 각각 1,308명(38.9%)과 165명(43.8%)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대단히 많이 느낌, 많이 느낌 군이 low hs-CRP에서 922명(27.4%), high hs-CRP에서 124명(32.9%)이며, P값이 0.024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ccording by hs-CRP

VariablesLow hs-CRP
(<2.2 mg/dL)
High hs-CRP
(≥2.2 mg/dL)
P-value
Total3,366 (89.9)377 (10.1)
Age (y)45.33±0.2246.04±0.640.297
Sex
Male1,507 (44.8)178 (47.2)0.366
Female1,859 (55.2)199 (52.8)
Smoking
Yes692 (20.6)88 (23.2)0.207
No2,674 (79.4)289 (76.7)
Alcohol consumption
Yes2,064 (61.3)229 (60.7)0.828
No1,302 (38.7)148 (39.3)
Household income
Lowest275 (8.2)43 (11.4)0.114
Low-middle794 (23.6)86 (22.8)
Middle-high1,049 (31.2)121 (32.1)
High1,248 (37.0)127 (33.7)
Education
≤Elementary school241 (7.2)37 (9.8)0.023
Middle school263 (7.8)33 (8.8)
High school1,302 (38.7)118 (31.3)
≥College1,560 (46.3)189 (50.1)
Aerobic exercise activity
Yes1,537 (45.7)171 (45.4)0.910
No1,829 (54.3)206 (54.6)
Sleep duration (h)
<71,308 (38.9)165 (43.8)0.064
>72,058 (61.1)212 (56.2)
Stress perception rate
Much more/much922 (27.4)124 (32.9)0.024
Some/less2,444 (72.6)253 (67.1)
SBP (mmHg)115.74±0.26119.11±0.88<0.001
DBP (mmHg)76.78±0.1779.06±0.57<0.001
BMI (kg/m2)23.79±0.0625.85±0.22<0.001
BMI
(<25 kg/m2)1,107 (32.9)200 (53.1)<0.001
(>25 kg/m2)2,259 (67.1)177 (46.9)
FBG (mg/dL)99.25±0.37103.89±1.32<0.001
HDL-C (mg/dL)52.24±0.2247.30±0.57<0.001
TG (mg/dL)134.39±1.81155.77±6.98<0.001
WC (cm)81.23±0.1786.78±0.55<0.001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or mean±standard error.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SBP, systolic blood pressure; DBP, diastolic blood pressure; BMI, body mass index; FBG, fasting blood glucose; HDL-C,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TG, triglyceride; WC, waist circumference.

Analyzed by t-test (continuous variable) and by chi-square test (categorical variable).



2. 연구대상자의 생활습관 관련 건강변수

Table 1에서 수축기/이완기 혈압 평균은 low hs-CRP군에서 115.74/76.78, high hs-CRP군에서 119.11/79.06으로 나타나 high hs-CRP군이 3.37/2.28 높게 나타났다. BMI 평균은 low hs-CRP군에서 23.79, high hs-CRP군에서 25.85로 high hs-CRP군이 2.06 높았다. 또한 BMI 25 kg/m2 이상인 비만은 low hs-CRP군에서 1,107명(32.9%)과 high hs-CRP 군에서 200명(53.1%)으로 high hs-CRP군의 비만 유병률이 높았다. 공복혈당(FBG)은 low hs-CRP군과 high hs-CRP군에서 각각 99.25와 103.89로 high hs-CRP 군의 공복혈당이 4.64만큼 높게 나타났다.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은 low hs-CRP군과 high hs-CRP군에서 각각 52.24와 47.30으로 나타나, low hs-CRP군의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이 4.94 높게 나타났다. 중성지방(TG)은 low hs-CRP군과 high hs-CRP군 각각 134.39와 155.77로 나타나, high hs-CRP군의 중성지방이 21.38 높게 나타났다. 허리둘레(WC)는 low hs-CRP군과 high hs-CRP군 각각 81.23와 86.78로 나타나, high hs-CRP군의 허리둘레가 5.55 cm 높게 나타났다(Table 1).

3. 우울증 유병과 hs-CRP의 상관관계

Table 2에서 PHQ-9 10점 이상 집단은 여자 73.9%, 남자 26.1%이었으며, P값 0.001 이하로 여자 우울증의 비율이 남자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PHQ-9 분류에 따른 hs-CRP 평균값은 남자에서 일반집단 hs-CRP 0.99 mg/dL, 우울집단 hs-CRP 1.60 mg/dL, 여자에서 일반집단 hs-CRP 0.86 mg/dL, 우울집단 hs-CRP 1.12 mg/dL로 나타나, 남녀 모두 우울집단의 hs-CRP가 높았다(P<0.05) (Table 2).

Table 2

Comparison of the mean of hs-CRP by PHQ-9 classification

PHQ-9 (<10)PHQ-9 (≥10)P-value
Sex
Male1,642 (45.9)43 (26.1)<0.001
Female1,936 (54.1)122 (73.9)<0.001
hs-CRP (mg/dL)
Male0.99±0.031.60±0.330.002
Female0.86±0.031.12±0.160.034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or mean±standard error.

hs-CRP,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PHQ-9, Patient Health Questionare-9.

Analyzed by t-test (continuous variable) and by chi-square test (categorical variable).



Table 3의 분석모형 1에서 나이와 성별을 보정한 결과 P값은 0.007, 교차비는 95% 신뢰구간에서 1.849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1.185–2.885)이었다. 분석모형 2는 hs-CRP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진 음주, 흡연을 추가 보정하였으며17,18) P값 0.014과 교차비 1.738 (95% CI, 1.121–2.696)로 나타났다. 분석모형 3은 본 연구에서 hs-CRP와 연관성이 확인된 교육 수준, 스트레스 인지율을 추가 보정하였고, P값 0.066 및 교차비 1.540 (95% CI, 0.973–2.439)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Table 3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s for hs-CRP according to the depression

ModelOdds ratio (confidence interval)P-value
Low hs-CRP
(<2.2 mg/dL)
High hs-CRP
(≥2.2 mg/dL)
Model 111.849 (1.185–2.885)0.007
Model 211.738 (1.121–2.696)0.014
Model 311.540 (0.973–2.439)0.066

Model 1 was adjusted for age, sex; Model 2 was adjusted for age, sex, alcohol consumption, smoking; Model 3 was adjusted for age, sex, alcohol consumption, smoking, stress perception rate, education level.

Analyzed by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variables.


고 찰

본 연구는 우울증과 hs-CRP 상승의 상관관계를 밝힌 2009년 Howren 등의 연구,7) 2007년 Irwin과 Miller의 연구8)와 염증매개물질이 우울증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Dantzer 등의 고찰9)에서 영감을 얻었다. 이에 우울장애와 염증매개물질의 상관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를 찾아보았으나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전 국민 대상의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우울장애와 혈중 hs-CRP 농도 관계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에 착수하였다.

혈중 hs-CRP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교육 수준, 스트레스 인지율, BMI, 공복혈당, 혈압,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허리둘레 등이 있었다. PHQ-9 10점 이상인 우울집단은 여자의 비율이 남자보다 높았다. hs-CRP 평균값은 남녀 모두 우울집단에서 높게 나타나, 우울증과 hs-CRP 상승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나이와 성별을 통제한 모형 1과 음주, 흡연을 추가로 통제한 모형 2에서 우울증과 혈중 hs-CRP 상승의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었다. 그러나 교육 수준과 스트레스 인지율을 추가 통제한 모형 3에서는 우울증과 hs-CRP 상승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우울증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인체는 이에 대항하기 위하여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hypothalamic-pituitary-adrenal gland axis, HPA축)과 교감신경을 활성화한다. 이로 인해 고코티졸혈증이 발생하고, 우울증 환자는 복부지방 증가와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 상승, 인슐린 저항성 증가를 보일 수 있다.20,21) 또한 자율신경계 조절능력 저하로 심박동수 불균형이 초래되고, 혈소판 활성화에 의한 혈관내피 혈전경향이 강화되어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높인다는 주장이 있다.22,23) 우울증 환자는 HPA축 활성화와 식이습관 변화로 인해 복부지방 증가 및 비만이 되기 쉬우며, 복부지방은 adipokines, chemokines과 cytokines의 저장고가 되어 다량의 염증물질을 혈중분비하며, 환자의 우울증상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국, 우울증으로 인해 복부지방이 증가하고, 복부지방으로 인해 우울증이 악화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이다.24)

Tumor necrosis factor (TNF)-a, sTNFr-1, sTNFr-2, interferon-α, IL-6, IL-1β 등의 inflammatory cytokine, pro-inflammatory cytokine이 대뇌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우울장애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가 있다.25) 또한, 청소년기의 젊은 우울증 환자가 재발을 반복하여 우울 에피소드가 축적될수록, 우울증과 CRP 혈중농도의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정서기능이 장기적으로 대사질환 또는 심혈관질환 같은 중∙장년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 연구이다.26)

염증매개물질은 기분조절에 관련된 신경회로, 시냅스 가소성, 모노아민 대사, 신경내분비 기능 등 다수의 경로에 직접 관여하여 우울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ytokine의 자극을 받은 말초면역세포는 인돌아민-2,3-이산화효소(indoleamine-2,3-dioxygenase)를 이용하여 트립토판을 kynurenine으로 분해하고, 혈중 증가된 kynurenine은 뇌혈관장벽을 통과하여 뇌세포를 자극한다. Kynurenine의 자극을 받은 astrocyte에서는 글루타민, 도파민 분비가 감소하며, microglia에서는 NMDA 수용체 활성화 및 지질과산화를 일으켜 최종적으로 cognitive dysfunction, neurodegeneration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7)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한계점이 있다. 첫째, PHQ-9가 민감도와 특이도 및 신뢰도가 높은 조사이지만,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로 의사의 진단을 받은 우울증 환자와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주요우울장애를 진단하는데 PHQ-9 절단점의 적합성에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단면 연구이므로 우울증과 CRP의 직접적인 인과 관계를 밝히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활발히 논의가 되고 있는 우울장애와 대사증후군, 심뇌혈관장애의 상관관계에 더하여 hs-CRP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의견을 제시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개인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생명을 위협하며, 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우울장애에 대하여 환자를 진단하고, 교육하는 근거로서 본 연구가 의미 있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2. World Health Organization.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report of a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3. Wells KB, Stewart A, Hays RD, Burnam MA, Rogers W, Daniels M, et al. The functioning and well-being of depressed patients. Results from the Medical Outcomes Study. JAMA 1989; 262: 914-9.
    Pubmed CrossRef
  4. Murray CJ, Lopez AD. Alternative projections of mortality and disability by cause 1990-2020: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Lancet 1997; 349: 1498-504.
    Pubmed CrossRef
  5. Lee M.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severity of depression scored with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in men older than 50 years. Korean J Fam Pract 2019; 9: 467-70.
    CrossRef
  6. Dunbar JA, Reddy P, Davis-Lameloise N, Philpot B, Laatikainen T, Kilkkinen A, et al. Depression: an important comorbidity with metabolic syndrome in a general population. Diabetes Care 2008; 31: 2368-73.
    Pubmed KoreaMed CrossRef
  7. Howren MB, Lamkin DM, Suls J. Associations of depression with C-reactive protein, IL-1, and IL-6: a meta-analysis. Psychosom Med 2009; 71: 171-86.
    Pubmed CrossRef
  8. Irwin MR, Miller AH. Depressive disorders and immunity: 20 years of progress and discovery. Brain Behav Immun 2007; 21: 374-83.
    Pubmed CrossRef
  9. Dantzer R, O'Connor JC, Freund GG, Johnson RW, Kelley KW. From inflammation to sickness and depression: when the immune system subjugates the brain. Nat Rev Neurosci 2008; 9: 46-56.
    Pubmed KoreaMed CrossRef
  10. Halaris A. Co-morbidity between cardiovascular pathology and depression: role of inflammation. Mod Trends Pharmacopsychiatry 2013; 28: 144-61.
    Pubmed CrossRef
  11. Pepys MB, Hirschfield GM. C-reactive protein: a critical update. J Clin Invest 2003; 111: 1805-12.
    Pubmed KoreaMed CrossRef
  12. Pearson TA, Mensah GA, Alexander RW, Anderson JL, Cannon RO 3rd, Criqui M, et al. Markers of inflamm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application to clinical and public health practice: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03; 107: 499-511.
    Pubmed CrossRef
  13. Danesh J, Wheeler JG, Hirschfield GM, Eda S, Eiriksdottir G, Rumley A, et al. C-reactive protein and other circulating markers of inflammation in the predic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N Engl J Med 2004; 350: 1387-97.
    Pubmed CrossRef
  14. Danesh J, Whincup P, Walker M, Lennon L, Thomson A, Appleby P, et al. Low grade inflamma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prospective study and updated meta-analyses. BMJ 2000; 321: 199-204.
    Pubmed KoreaMed CrossRef
  15. Roberts WL, Moulton L, Law TC, Farrow G, Cooper-Anderson M, Savory J, et al. Evaluation of nine automate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methods: implications for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applications. Part 2. Clin Chem 2001; 47: 418-25.
    Pubmed CrossRef
  16. Choi HS, Choi JH, Park KH, Joo KJ, Ga H, Ko HJ, et al.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J Korean Acad Fam Med 2007; 28: 114-9.
  17. Choun JK, Paek YJ, Byun JS, Park KH, Song HJ, Cho JJ. The association between C-reactive protein and smoking characteristics among Korean men. J Korean Acad Fam Med 2005; 26: 621-8.
  18. Hwang JS, Lee SH, Park HS. The association between C-reactive protein and obesity among Korean men. J Korean Acad Fam Med 2003; 24: 58-63.
  19. Visser M, Bouter LM, McQuillan GM, Wener MH, Harris TB. Elevated C-reactive protein levels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JAMA 1999; 282: 2131-5.
    Pubmed CrossRef
  20. Yoo SJ, Jeong H. Diagnosis and treatment of adrenal insufficiency. Hanyang Med Rev 2012; 32: 203-12.
    CrossRef
  21. Weber-Hamann B, Werner M, Hentschel F, Bindeballe N, Lederbogen F, Deuschle M, et al. Metabolic changes in elderly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evidence for increased accumulation of visceral fat at follow-up. Psychoneuroendocrinology 2006; 31: 347-54.
    Pubmed CrossRef
  22. de Jonge P, Mangano D, Whooley MA. Differential association of cognitive and somatic depressive symptoms with heart rate variability in patients with stable coronary heart disease: findings from the Heart and Soul Study. Psychosom Med 2007; 69: 735-9.
    Pubmed KoreaMed CrossRef
  23. Ziegelstein RC, Parakh K, Sakhuja A, Bhat U. Depression and coronary artery disease: is there a platelet link? Mayo Clin Proc 2007; 82: 1366-8.
    Pubmed CrossRef
  24. Shelton RC, Miller AH. Inflammation in depression: is adiposity a cause? Dialogues Clin Neurosci 2011; 13: 41-53.
    Pubmed KoreaMed CrossRef
  25. Lotrich FE. Inflammatory cytokine-associated depression. Brain Res 2015; 1617: 113-25.
    Pubmed KoreaMed CrossRef
  26. Copeland WE, Shanahan L, Worthman C, Angold A, Costello EJ. Cumulative depression episodes predict later C-reactive protein levels: a prospective analysis. Biol Psychiatry 2012; 71: 15-21.
    Pubmed KoreaMed CrossRef
  27. Haroon E, Raison CL, Miller AH. Psychoneuroimmunology meets neuropsychopharmacology: translational implications of the impact of inflammation on behavior. Neuropsychopharmacology 2012; 37: 137-62.
    Pubmed KoreaMed CrossRef


This Article

e-submission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