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Fam Pract 2021; 11(3): 210-216  https://doi.org/10.21215/kjfp.2021.11.3.210
Prevalence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 Using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Jun Seok Kim1, Jae Min Kim2, Sik Kyung Choi1, Yeon Jong Cho1, Su Jung Kim1, Jung Are Kim1,*
1Department of Pediatrics, Hanil General Hospital;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Hanil General Hospital, Seoul, Korea
Jung Are Kim
Tel: +82-2-901-3029, Fax: +82-2-901-3819
E-mail: 04680358@hanilmed.net
ORCID: https://orcid.org/0000-0003-2581-2606
Received: February 22, 2021; Revised: March 22, 2021; Accepted: April 5, 2021; Published online: June 20, 2021.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Background: We wanted to understand the prevalence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in children hospitalized for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stratified by sex, age, season, multiple infections, and clinical symptoms.
Methods: Out of 1,331 children hospitalized for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who underwent the 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 between October 2015 and June 2017, viral infections were detected in 921, and these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Of the 1,331 patients, 667 (50.1%) were males with a median age of 55 months. Of the 921 (69.2%) children with viral infections, 443 (48.1%) were male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sex-related difference. Additionally, 698 (52.4%) were infected by a single virus: 194 cases of human rhinovirus (HRV) (14.6%), 181 cases of adenovirus (ADV) (13.6%), and 159 cases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 (RSV B) (11.9%). Infections by two or more viruses were detected in 222 cases (24.1%). The common combinations of viruses were HRV and ADV in 37 (16.7%) cases, RSV A and ADV in 17 cases (7.7%), and RSV A and RSV B in 15 cases (6.8%). Regarding the seasonal patterns, HRVs and ADV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year. Metapneumoviruses were detected more often during spring, and RSVs were detected more often in November and December.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in a single center was analyzed during 21 months,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may be useful for epidemiology and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Keywords: Respiratory Virus;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revalence; Children
서 론

소아에서 가장 많은 유병률과 사망률을 보이는 급성 호흡기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감염 원인의 80% 이상이 호흡기 바이러스이며, 외래 전체 내원 환자 수의 30%–50%, 입원환자의 20%–40%를 차지한다.1) 특히 3세 전 소아, 저체중 출생아이거나 어린이집에 다니는 것과 같은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에는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이 폐렴 또는 모세기관지염 등의 하부 호흡기 질환으로 진행되어 입원하는 경우가 많다.2)

급성 하기도 호흡기 감염에 대한 호흡기 바이러스에 관한 국내연구는 1995년에 세포배양법 및 면역형광검사, 2004년에 간접면역 형광검사법을 이용한 연구가 있었다.3,4) 호흡기 바이러스의 진단은 바이러스 세포 배양 검사가 제일 정확하지만 진단목적으로 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혈청학적 특이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은 항체 형성 기간이 필요하므로 초기 진단이 어렵고, 직접 면역 형광항체법은 민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기법을 이용해서 한번에 여러 가지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다중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검사법(multiplex reverse transcriptase [RT] PCR)을 임상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다.1,5)

저자들은 지난 21개월 동안 단일 의료기관에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하여 호흡기 바이러스검사를 시행한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바이러스의 양성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동시에 연령별, 계절별, 중복감염, 임상증상 등에 따른 원인 호흡기 바이러스의 유행양상을 파악하여, 시기에 따른 호흡기 질환의 원인 바이러스 변동에 대비하고자 한다.

방 법

이 연구는 2015년 10월부터 2017년 6월까지 한일병원 소아청소년과에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하여 호흡기 바이러스검사를 시행한 18세 미만 소아 총 1,3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연구 대상자의 성별과 나이, 검체물 채취를 시행한 시기와 바이러스검사 결과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한일병원 임상시험윤리위원회의 심의(IRB No. HGH-2018-OTH-011)를 거쳐 대상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입원한 환자의 바이러스검사는 입원 당일 또는 다음날 비인두 도말물을 채취하였다. 채취 후 모든 검체는 처리되기 전까지 4°C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검사 항목은 연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2015년 10월부터 2016년 5월까지는 아데노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 B형, 메타뉴모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3형(229E, OC43, NL63형), 파라인플루엔자 1, 2, 3형과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 B형 검사가 포함된 12종 검사(Seeplex RV detection kit, SeeGene, Seoul, Korea)를 시행하였다. 이후 2016년 6월부터는 코로나바이러스 아형이 229E형, NL63형으로 분리되고, 보카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4형이 추가된 16종 바이러스검사(Anyplex II RV16 detection kit; SeeGene, Seoul, Korea)를 시행하였다. 이 모든 바이러스 검출은 Multiplex RT-PCR 검사법(Seegene) 5, 15를 이용하였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는 아형별로, 코로나바이러스는 229E/NL63, OC43 두 개의 아형으로 감염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5.0 (IBM Co.,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다. 바이러스는 성별, 연령별, 월별 양성률을 계산하였다. 평균 나이는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아 중앙값(median)으로 기술하였다. 각각의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전체 바이러스 양성률 또한 월별로 분석하였다. 연령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양성률은 1세 미만, 1–2세, 3–4세, 5–7세, 8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비연속형 변수 비교는 chi-square test, 연속형 변수의 평균 비교는 Student t-test를 시행했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1. 바이러스별 양성률과 성별 차이

21개월 동안 총 1,331명의 소아에게 호흡기 바이러스검사를 시행하였다. 이 중 남아는 667명(50.1%)으로 연령 중앙값은 55개월이었다. 바이러스가 검출된 소아는 921명(69.2%)이며, 이 중 남아는 443명(48.1%)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성별 차이는 없었다(Table 1).

Table 1

Detection rate of respiratory viruses according to age and sex

Age group (y)SubjectsPositive casesaSexb
MaleFemaleP-value
<187 (6.5)70 (80.5)33 (47.1)37 (52.9)0.152
1–2386 (29.0)314 (81.3)154 (49.0)160 (51.0)0.912
3–4251 (18.9)192 (76.5)98 (51.0)94 (49.0)0.416
5–7264 (19.8)167 (63.3)73 (43.7)94 (56.3)0.428
>8343 (25.8)178 (51.9)85 (47.8)93 (52.2)0.215
Total1,331 (100.0)921 (69.2)443 (48.1)478 (51.9)0.839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aPercentage of subjects who wer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ositive among subjects according to each age. bPercentage of males and females in subjects who were tested positive for each age by PCR test.



각 바이러스에 대한 양성률은 라이노바이러스가 14.6%로 가장 높았고, 아데노바이러스 13.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B형은 11.9%,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은 11.8%였다(Table 2). 총 1,331명중 단일 바이러스에 양성을 보인 소아는 698명(52.4%), 바이러스가 2개 이상 검출된 경우는 223명(16.8%)이었다. 호흡기 바이러스 중복감염의 검출률은 24.1%이며, 제일 흔한 조합은 2가지 바이러스 감염에서는 라이노바이러스와 아데노바이러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과 아데노바이러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과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B형 순이며, 3가지 바이러스 감염은 메타뉴모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와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 아데노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와 파라플루엔자 바이러스 1형 순이며, 4가지 바이러스 감염은 메타뉴모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파라플루엔자 바이러스 3형과 라이노바이러스였다(Figure 1).

Table 2

Positive rate of respiratory viruses in each age group

Age group (y)PositiveMPVADVPIV1PIV2PIV3PIV4Flu AFlu BHRV A/BRSV ARSV BEnteroBocaOC43229E/NL63
<180.59.25.719.51.111.50.00.00.012.610.318.40.01.18.03.4
1–281.36.720.710.90.311.91.01.63.918.412.412.71.31.86.72.3
3–476.53.612.05.60.83.20.01.64.015.514.319.90.42.84.06.4
5–766.54.819.13.71.10.00.51.66.412.813.812.20.00.55.92.7
>852.53.17.21.40.72.10.24.11.211.79.15.00.01.09.32.6
Total69.24.913.66.50.75.50.52.33.214.611.811.90.51.57.03.3

Values are presented as percentages.

MPV, human metapneumovirus; ADV, human adenovirus; PIV1, human parainfluenza virus 1; PIV2, human parainfluenza virus 2; PIV3, human parainfluenza virus 3; PIV4, human parainfluenza virus 4; Flu A, influenza A; Flu B, influenza B; HRV A/B, human rhinovirus A/B; RSV A,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RSV B,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 Entero, enterovirus; Boca, human bocavirus; OC43, human coronavirus-OC43; 229E/NL63, human coronavirus-229E/NL63.



Figure 1. Frequency of single and multiple virus detection. MPV, human metapneumovirus; ADV, human adenovirus; PIV1, human parainfluenza virus 1; PIV2, human parainfluenza virus 2; PIV3, human parainfluenza virus 3; PIV4, human parainfluenza virus 4; Flu A, influenza A; Flu B, influenza B; HRV A/B, human rhinovirus A/B; RSV A,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RSV B,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 Entero, enterovirus; Boca, human bocavirus; OC43, human coronavirus-OC43; 229E/NL63, human coronavirus-229E/NL63.

2. 계절별 변화율

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한 빈도와 양성률은 월별로 차이가 있었다. 월별로 12월에 호흡기 바이러스검사를 가장 많이 시행하였고(370례, 점유율 31.8%), 바이러스 양성률은 7월에 98.1%로 가장 높았다. 각 바이러스의 양성률을 계절적으로 분석했을 때 봄은 아데노바이러스(21.4%), 라이노바이러스(17.9%), 메타뉴모바이러스(9.7%) 순으로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그리고 여름은 아데노바이러스(33.7%), 라이노바이러스(18.8%), 파라인플루엔자 3형 바이러스(11.9%), 순이었으며, 가을은 라이노바이러스(18.2%), 아데노바이러스(11.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11.3%) 순, 겨울은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B형(26.5%),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21.4%), 라이노바이러스(14.0%) 순이었다(Figure 2).

Figure 2. Seasonal distribution of respiratory infection in children. MPV, human metapneumovirus; ADV, human adenovirus; PIV1, human parainfluenza virus 1; PIV2, human parainfluenza virus 2; PIV3, human parainfluenza virus 3; PIV4, human parainfluenza virus 4; Flu A, influenza A; Flu B, influenza B; HRV A/B, human rhinovirus A/B; RSV A,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RSV B,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 Entero, enterovirus; Boca, human bocavirus; OC43, human coronavirus-OC43; 229E/NL63, human coronavirus-229E/NL63.

3. 연령별 검출률

연령별 검사 양성률은 1세 미만에서 80.5% (70/87명), 1–2세에서 81.3% (314/386명), 3–4세에서 76.5% (192/251명), 5–7세 사이 63.3% (167/264명), 8세 이상에서 51.9% (178/343명)이었다(Table 1).

검출된 호흡기 바이러스의 연령별 차이를 보면 1세 미만에서는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1형(19.5%)이 양성률이 높았으며, 1–2세에서는 아데노바이러스(20.7%), 3–4세에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B형(19.9%), 5–7세에서는 아데노바이러스(19.1%), 8세 이상에서는 라이노바이러스(11.7%)가 양성률이 높았다(Table 2). 각 바이러스의 나이에 따른 분포는 Figure 3과 같다.

Figure 3. Distribution of age groups for each respiratory viruses. MPV, human metapneumovirus; ADV, human adenovirus; PIV1, human parainfluenza virus 1; PIV2, human parainfluenza virus 2; PIV3, human parainfluenza virus 3; PIV4, human parainfluenza virus 4; Flu A, influenza A; Flu B, influenza B; HRV A/B, human rhinovirus A/B; RSV A,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RSV B,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 Entero, enterovirus; Boca, human bocavirus; OC43, human coronavirus-OC43; 229E/NL63, human coronavirus-229E/NL63.

4. 임상양상과 임상진단에 따른 검출률

중복감염으로 인해 검출자 수보다 검출건 수는 증가하였다. 발열이 있을 때 바이러스 양성이 확인된 경우 70.1% (646명/총 921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아데노바이러스(18.6%), 라이노바이러스(15.9%),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11.6%) 순으로 높았다. 발열이 5일 이상 난 경우는 26.4% (243명/총 921명)에서 관찰되었는데, 아데노바이러스(26.9%), 라이노바이러스(21.5%),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1형(12.5%) 순이었다. 천명음은 15.2% (140명/총 921명)에서 청진되었는데,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B형(20.0%), 라이노바이러스(19.0%),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14.3%) 순으로 높았다. 악설음은 49.0% (451명/총 921명)에서 청진되었는데,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B형(21.1%),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16.0%), 라이노바이러스(19.1%) 순으로 높았다(Table 3).

Table 3

Clinical manifestations in cases with respiratory virus infection

GroupMPVADVPIV1PIV2PIV3PIV4Flu AFlu BHRV A/BRSV ARSV BEnteroBocaOC43229E/NL63
Fever48 (5.9)152 (18.6)75 (9.2)6 (0.7)66 (8.1)4 (0.5)24 (2.9)33 (4.0)130 (15.9)95 (11.6)68 (8.3)5 (0.6)11 (1.3)62 (7.6)38 (4.7)
Fever >5 d9 (3.0)80 (26.9)37 (12.5)2 (0.7)30 (10.1)3 (1.0)6 (2.0)7 (2.4)64 (21.5)20 (6.7)8 (2.7)3 (1.0)3 (1.0)17 (5.7)8 (2.7)
Wheezing9 (4.3)21 (10.0)18 (8.6)1 (0.5)12 (5.7)2 (1.0)6 (2.9)6 (2.9)40 (19.0)30 (14.3)42 (20.0)0 (0.0)4 (1.9)13 (6.2)6 (2.9)
Crackle38 (6.7)58 (10.2)27 (4.8)4 (0.7)35 (6.2)3 (0.5)8 (1.4)20 (3.5)77 (13.6)91 (16.0)120 (21.1)2 (0.4)8 (1.4)48 (8.5)29 (5.1)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MPV, human metapneumovirus; ADV, human adenovirus; PIV1, human parainfluenza virus 1; PIV2, human parainfluenza virus 2; PIV3, human parainfluenza virus 3; PIV4, human parainfluenza virus 4; Flu A, influenza A; Flu B, influenza B; HRV A/B, human rhinovirus A/B; RSV A,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RSV B,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 Entero, enterovirus; Boca, human bocavirus; OC43, human coronavirus-OC43; 229E/NL63, human coronavirus-229E/NL63.



임상진단에 따른 검출률을 보면 폐렴인 경우 58.0% (534명/총 921명)였고,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B형(17.5%), 라이노바이러스(16.9%),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15.0) 순으로 높았다. 세기관지염인 경우는 20.4% (188명/총 921명)였고,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B형(18.8%), 라이노바이러스(14.5%),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12.2) 순으로 높았다(Table 4).

Table 4

Clinical diagnosis in cases with respiratory virus infection

DiagnosisMPVADVPIV1PIV2PIV3PIV4Flu AFlu BHRV A/BRSV ARSV BEnteroBocaOC43229E/NL63
Pneumonia40 (5.9)80 (11.7)34 (5.0)4 (0.6)46 (6.8)6 (0.9)16 (2.3)14 (2.1)115 (16.9)102 (15.0)119 (17.5)2 (0.3)10 (1.5)62 (9.1)31 (4.6)
Bronchiolitis29 (11.4)26 (10.2)19 (7.5)1 (0.4)28 (11.0)2 (0.8)2 (0.8)3 (1.2)37 (14.5)31 (12.2)48 (18.8)2 (0.8)4 (1.6)17 (6.7)6 (2.4)
Acute pharyn-
gotonsillitis
14 (7.5)69 (37.1)14 (7.5)1 (0.5)15 (8.1)1 (0.5)4 (2.2)0 (0.0)28 (15.1)14 (7.5)4 (2.2)3 (1.6)4 (2.2)9 (4.8)6 (3.2)
Acute otitis
media
3 (3.2)18 (19.4)5 (5.4)2 (2.2)6 (6.5)0 (0.0)1 (1.1)3 (3.2)6 (6.5)19 (20.4)24 (25.8)0 (0.0)3 (3.2)3 (3.2)0 (0.0)
Bronchitis0 (0.0)21 (23.9)4 (4.5)3 (3.4)3 (3.4)0 (0.0)1 (1.1)0 (0.0)22 (25.0)13 (14.8)10 (11.4)0 (0.0)0 (0.0)5 (5.7)6 (6.8)
Influenza3 (3.5)4 (4.7)0 (0.0)0 (0.0)3 (3.5)1 (1.2)29 (34.1)40 (47.1)2 (2.4)0 (0.0)0 (0.0)0 (0.0)0 (0.0)0 (0.0)3 (3.5)
Croup4 (5.2)11 (14.3)28 (36.4)3 (3.9)7 (9.1)0 (0.0)3 (3.9)0 (0.0)6 (7.8)3 (3.9)7 (9.1)0 (0.0)1 (1.3)0 (0.0)4 (5.2)
Asthma1 (3.3)0 (0.0)0 (0.0)0 (0.0)0 (0.0)0 (0.0)0 (0.0)2 (6.7)15 (50.0)8 (26.7)3 (10.0)0 (0.0)1 (3.3)0 (0.0)0 (0.0)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MPV, human metapneumovirus; ADV, human adenovirus; PIV1, human parainfluenza virus 1; PIV2, human parainfluenza virus 2; PIV3, human parainfluenza virus 3; PIV4, human parainfluenza virus 4; Flu A, influenza A; Flu B, influenza B; HRV A/B, human rhinovirus A/B; RSV A,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RSV B,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 Entero, enterovirus; Boca, human bocavirus; OC43, human coronavirus-OC43; 229E/NL63, human coronavirus-229E/NL63.


고 찰

본 연구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입원하여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한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331건의 검사를 시행하였다. 호흡기 바이러스검사 양성률은 69.2%였는데,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들과 비교하면 Choi 등6)의 연구는 74%, Lim 등7)의 연구는 69.2%로 비슷한 검출률을 보였다. 성별 차이는 Lee 등2)의 연구에서는 58.3%, Woo 등8)의 연구는 60.8%로 남아가 바이러스 양성률이 높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남아에서 48.1%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성별 차이는 없었다. 급성 하기도 감염에서 호흡기 융합세포 바이러스의 위험요인을 볼 때 남아에서 빈도가 높은데,9) 본 연구에서는 호흡기 융합세포 바이러스에서 남아는 51.3%로 약간의 우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성별 차이는 없었다.

단일 바이러스에 양성을 보인 환자 698명(52.4%) 중 라이노바이러스가 14.6%로 가장 높았고, 아데노바이러스는 13.6%,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B형은 11.9%,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A형은 11.8%였는데, 이 결과는 기존에 보고된 것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2)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 OC43형과 229E/NL63형은 검출률이 낮았는데, 229E, NL63, OC43 아형들은 경한 상기도 감염이 대부분이며,10,11) 외래환자보다 상대적으로 증상이 심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호흡기 바이러스 중복감염 검출률은 연구 대상자의 연령, 검출시기, 검출지역 등에 따라 11.5%–45.1%로 차이가 있는데,8,12,13) 소아에서 중복감염이 발생하는 이유는 소아에서 특히 영아는 면역체계가 미성숙하고, 과거 호흡기 바이러스 노출력이 없으며,14) 바이러스 배출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이다.15) 특히 라이노바이러스는 감염 후 30일까지도 배출이 되는데, 긴 배출 기간 동안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와의 중복감염을 일으킨다.10) 본 연구에서도 2가지 바이러스 감염에서는 라이노바이러스와 아데노바이러스가 조합된 이중 감염이 가장 많았다.

호흡기 바이러스의 활동성과 계절적 유행은 개별적으로 차이가 있고, 해마다 조금씩 변화가 있어 왔다. 기상학적 인자인 기온, 상대습도와 관련이 많은 개별 바이러스의 계절적 변동을 알게 되면 효과적인 조절 계획과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16) 본 연구에서도 기존연구와 같이1,12,17,18) 아데노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는 연중으로 유행하였고, 메타뉴모바이러스, 호흡기 융합세포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은 강한 계절적 패턴을 보였는데, 봄에는 메타뉴모바이러스, 겨울에는 호흡기 융합세포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이 유행하였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감염의 역학을 보면 기후인자와 상관관계가 있는데, 아열대, 온대 지방에서는 낮은 기온에 발생빈도가 올라가고,19) 바이러스의 활동성은 겨울에 최고조에 달한다.20) 바이러스는 10월부터 발생률이 증가하기 시작해서 겨울(12–2월) 동안 높은 양성률을 보이는데,5) 본 연구에서도 10월부터 검출되기 시작해서 12월에 검출률이 제일 높았다.

연령별 검사 검출률은 1세 미만에서 80.5%, 1–2세에서 81.3%로 다른 연령에 비해 높게 나왔다. Kim 등1)의 연구에서 1.3세, Appak 등18)의 연구에서도 2세 미만에서 양성률이 높았으며, 본 연구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어린 연령에서 바이러스 검출률이 높은 것은 바이러스 배출기간이 연장아보다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이다.15) 검출된 호흡기 바이러스의 연령별 차이를 봤을 때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는 취학 전 연령까지(7세까지) 검출률이 높았는데,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는 전염력이 강해서 2세까지 거의 모든 소아가 감염되고, 전 소아기 동안 각 유행 시마다 10%–20%에서 재감염되기 때문이다.21) 특히 영아기부터 어린이집, 형제자매 등 감염원에 노출되는 빈도가 많은 경우에는 재감염률이 60%–80%에 달하기 때문에 취학 전 아동까지는 검출률이 높게 나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임상양상과 임상진단에 따른 바이러스 검출률을 보면, 발열이 있는 경우 아데노바이러스가 18.6%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아데노바이러스는 알려진 혈청형 중 1/3만 임상적인 질병을 일으키며, 3, 2, 1, 5형이 많이 유행하는데, 학교나 군대에서 결막염, 인후염, 호흡기 질환이 유행성으로 발생한다.22) 본 연구에서는 아데노바이러스가 검출된 경우, 임상진단으로 폐렴, 인후염, 기관지염 등이 보고되었다. 영유아에서 많이 검출된 호흡기 융합세포 바이러스가 상대적으로 발열이 적은 것은 영아기에는 선천 면역(innate immunity)이 미성숙하고, 태내에서의 면역관용이 남아있고, 감염원 노출이 아직 적고, 열이 발생되는 기전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이다.23,24) 그리고, 호흡기 융합세포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아의 1/3에서 세기관지염, 기관지폐렴 등 하기도 질환이 발생하는데,21) 본 연구에서도 세기관지염과 폐렴의 유병률이 높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경증의 호흡기 감염을 가진 외래 환자가 포함되지 않았고, 연구 기간이 짧고, 단일기관 연구이기에 전체 지역사회를 대표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둘째, 대조군이 없어서 바이러스 검사 양성이 질환 발현과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이용한 Multiplex RT-PCR 검사법은 반정량 검사법으로 중복감염에서 어느 바이러스가 주요 병원체인지, 선행 또는 후행 감염인지 등을 구분하기 어려웠다. 현성 감염의 기여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량적 검사가 필요하겠다.

결론적으로 연구기간 동안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환아의 바이러스 검출률은 69.2%였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성별 차이는 없었고, 계절적 경향을 보인 바이러스는 봄에는 메타뉴모바이러스, 겨울에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였으며, 임상양상에 따른 바이러스 검출률을 봤을 때, 발열이 있는 경우 아데노바이러스가, 청진상 천명음과 악설음이 있는 경우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가, 폐렴과 세기관지염으로 진단된 경우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가 많이 검출되었다.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Kim JK, Jeon JS, Kim JW, Rheem I. Epidemiology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 using multiplex rt-PCR in Cheonan, Korea (2006-2010). J Microbiol Biotechnol 2013; 23: 267-73.
    Pubmed CrossRef
  2. Lee SJ, Lee SH, Ha EK, Sheen YH, Sung MS, Jung YH, et al. Prevalence of respiratory virus infection with regard to age, sex, and seasonality factors: a single center experience against children hospitalized during the 10 years.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7; 5: 320-5.
    CrossRef
  3. Yun BY, Kim MR, Park JY, Choi EH, Lee HJ, Yun CK. Viral etiology and epidemiology of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Korean children. Pediatr Infect Dis J 1995; 14: 1054-9.
    Pubmed CrossRef
  4. Park JS. Viral etiology and epidemiology of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hospitalized children (Choongchung province in May 2001 through April 2004).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04; 14: 366-76.
  5. Cheong HY, Lee JH, Kim YB, Nam HS, Choi YJ, Kim CJ, et al. Viral etiologic agents in acute 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detected by multiplex RT-PCR. Pediatr Allergy Respir Dis 2007; 17: 334-53.
  6. Choi E, Ha KS, Song DJ, Lee JH, Lee KC. Clinical and laboratory profiles of hospitalized children with acute respiratory virus infection. Korean J Pediatr 2018; 61: 180-6.
    Pubmed KoreaMed CrossRef
  7. Lim FJ, Wake ZV, Levy A, Tempone S, Moore HC, Richmond PC, et al. Viral etiology and the impact of codetection in young children presenting with influenza-like illness. J Pediatric Infect Dis Soc 2017; 6: 260-6.
    Pubmed KoreaMed CrossRef
  8. Woo YR, Kim HJ, Kim MS, Koh HJ, Lee SG, Ahn YH. Clinical difference between single infection and coinfection with respiratory virus: the 2014 single-center study.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6; 4: 360-8.
    CrossRef
  9. Shi T, Balsells E, Wastnedge E, Singleton R, Rasmussen ZA, Zar HJ, et al. Risk factors for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ssociated with acute lower respiratory infection in children under five year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Glob Health 2015; 5: 020416.
    Pubmed KoreaMed CrossRef
  10. Loeffelholz MJ, Trujillo R, Pyles RB, Miller AL, Alvarez-Fernandez P, Pong DL, et al. Duration of rhinovirus shedding in the upper respiratory tract in the first year of life. Pediatrics 2014; 134: 1144-50.
    Pubmed KoreaMed CrossRef
  11. Su S, Wong G, Shi W, Liu J, Lai ACK, Zhou J, et al. Epidemiology, genetic recombination, and pathogenesis of coronaviruses. Trends Microbiol 2016; 24: 490-502.
    Pubmed KoreaMed CrossRef
  12. Choi EH, Lee HJ, Kim SJ, Eun BW, Kim NH, Lee JA, et al. The association of newly identified respiratory viruses with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Korean children, 2000-2005. Clin Infect Dis 2006; 43: 585-92.
    Pubmed KoreaMed CrossRef
  13. Cebey-López M, Herberg J, Pardo-Seco J, Gómez-Carballa A, Martinón-Torres N, Salas A, et al. Viral co-infections in pediatric patients hospitalized with lower tract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PLoS One 2015; 10: e0136526.
    Pubmed KoreaMed CrossRef
  14. Jartti T, Lehtinen P, Vuorinen T, Koskenvuo M, Ruuskanen O. Persistence of rhinovirus and enterovirus RNA after acute respiratory illness in children. J Med Virol 2004; 72: 695-9.
    Pubmed CrossRef
  15. Drews AL, Atmar RL, Glezen WP, Baxter BD, Piedra PA, Greenberg SB. Dual respiratory virus infections. Clin Infect Dis 1997; 25: 1421-9.
    Pubmed KoreaMed CrossRef
  16. Price RHM, Graham C, Ramalingam S. Association between viral seasonality and meteorological factors. Sci Rep 2019; 9: 929.
    Pubmed KoreaMed CrossRef
  17. Litwin CM, Bosley JG. Seasonality and prevalence of respiratory pathogens detected by multiplex PCR at a tertiary care medical center. Arch Virol 2014; 159: 65-72.
    Pubmed KoreaMed CrossRef
  18. Appak Ö, Duman M, Belet N, Sayiner AA. Viral respiratory infections diagnosed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pediatric patients. J Med Virol 2019; 91: 731-7.
    Pubmed KoreaMed CrossRef
  19. Tang JW, Loh TP. Correlations between climate factors and incidence--a contributor to RSV seasonality. Rev Med Virol 2014; 24: 15-34.
    Pubmed CrossRef
  20. Piedimonte G, Perez MK.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and bronchiolitis. Pediatr Rev 2014; 35: 519-30.
    Pubmed KoreaMed CrossRef
  21. Kliegman R, St Geme JW, Blum NJ, Shah SS, Tasker RC, Wilson KM, et al.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th ed. Philadelphia (PA): Elsevier; 2020. p. 1734-7.
  22. Kliegman R, St Geme JW, Blum NJ, Shah SS, Tasker RC, Wilson KM, et al.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1th ed. Philadelphia (PA): Elsevier; 2020. p. 1740-1.
  23. Goenka A, Kollmann TR. Development of immunity in early life. J Infect 2015; 71 Suppl 1: S112-20.
    Pubmed CrossRef
  24. Kawakami C, Sato A, Sumita H, Isozaki A, Shimizu H, Kanetaka T, et al. Fever responses are enhanced with advancing age during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among children under 24 months old. Tohoku J Exp Med 2018; 245: 217-22.
    Pubmed CrossRef


This Article

e-submission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