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Fam Pract 2022; 12(3): 201-210  https://doi.org/10.21215/kjfp.2022.12.3.201
Factors Associated with 6-Month Smoking Cessation in Female Smokers
Young In Lee1, Seung Hun Lee2,3,4,5,*, Yun Jin Kim2,3,5, Sang Yeoup Lee1,6, Jeong Gyu Lee2,3,5, Yu Hyeon Yi2,3,5, Young Hye Cho1,5, Young Jin Tak2,3,5, Eun Ju Park1, Gyu Ree Kim2,3,4, Young Jin Ra2,3, Jung In Choi1, Sae Rom Lee1, Ryuk Jun Kwon1, Soo Min Son1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Yangsan;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3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and 4Busan Tobacco Control Center,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Departments of 5Family Medicine and 6Medical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Yangsan, Korea
Seung Hun Lee
Tel: +82-51-240-7834, Fax: +82-51-240-7843
E-mail: greatseunghun@daum.net
ORCID: https://orcid.org/0000-0002-0976-8708
Received: January 19, 2022; Revised: February 20, 2022; Accepted: March 12, 2022; Published online: June 20, 2022.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Background: Female smoker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male smoker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success of quitting smoking among female smokers.
Methods: The study sample included 1,118 female smokers enrolled in the visit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of a single regional smoking cessation center from June 1, 2015 to December 31, 2017. Data were provided by the National Tobacco Control Center. The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for six months was confirmed through a urine cotinine test.
Results: The smoking cessation success rate was higher among those aged over 40 year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otal smoking duration (odds ratio [OR], 0.94; 95% confidence interval [CI], 0.89–0.98), nicotine dependence (OR, 0.79; 95% CI, 0.69–0.91), and exhaled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OR, 0.96; 95% CI, 0.91–1.01)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ix-month success rate. Confidence in quitting smoking at first counseling (OR, 1.21; 95% CI, 1.06–1.37) and total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OR, 1.51; 95% CI, 1.40–1.63)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uccess rate of quitting smoking at six months.
Conclusion: The six-month smoking cessation success of female smokers enrolled in the visit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associated with age of 40 years or older, having a short smoking period, low nicotine dependence, low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high smoking cessation confidence, and high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Keywords: Smoking Cessation; Female; Adolescent; Tobacco; Public Health
서 론

흡연은 암과 심뇌혈관 질환의 강력한 위험 인자이며,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남성의 경우 12년, 여성의 경우 11년의 수명 감소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흡연자가 금연할 경우 생존 기간 증가를 기대할 수 있고, 이는 일찍 금연에 성공할수록 효과적이다.2) 여성의 경우 흡연은 폐암, 심뇌혈관 질환 외에도 조기 폐경 및 자궁 경부암 등 부인과 질환을 증가시키고, 특히 임신 중의 흡연은 유산,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을 증가시킨다.3) 2020년 12월 31일 공개된 201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결과 발표에 따르면 2019년 대한민국의 흡연율은 남성 35.7%, 여성 6.7%로 남성에 비해 여성의 흡연율이 매우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1998년 남성 흡연율이 66.3%, 여성 흡연율이 6.5%였던 점을 감안하면 남성의 흡연율은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지만, 여성의 흡연율은 전혀 감소하지 않았고 오히려 20–40대 여성 흡연율은 약 2배가량 증가했다.4)

여성 흡연자는 남성 흡연자와 다른 특성을 보이는데, 2년간 보건소 금연 클리닉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선행 연구에서 금연 클리닉 신규 등록자 677,254명 중 여성의 비율은 10.2%로 남성에 비해 낮은 참여율을 보였고, 여성 흡연자는 남성에 비해 첫 흡연 연령이 더 늦고, 하루 평균 흡연량이 더 적으며, 니코틴 의존도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5) 또한, 금연 클리닉을 이용한 여성의 평균 연령은 45.84세였는데, 여성 흡연율이 20대에 가장 높은 것을 고려하면,4) 주요 흡연연령대의 여성 흡연자들의 보건소 금연 클리닉 이용률이 낮다고 예상할 수 있다. 국내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질적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흡연하는 이유로 스트레스 해소와 불안감 해소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또한, 금연을 결심하는 이유로 담배 냄새로 인해 본인이 흡연자임이 노출되는 것에 대한 걱정을 표현했고, 건강에 대한 우려보다는 피부 미용에 대한 우려가 더 컸다.6)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흡연의 이유와 금연을 주저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된 연구에서는 기분 변화에 대한 우려 때문에 금연을 주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 국내 여성 흡연자의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주로 보건소를 방문한 흡연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연령, 직업, 니코틴 의존도, 음주, 일일 흡연량 등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흡연율이 가장 높은 20대 흡연자의 비율이 17.9%로 낮았기 때문에 여성 흡연자를 대표하는 결과라고 보기 어렵다.5)

국내에서는 2015년부터 중증 흡연자 해결과 금연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지역금연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세부 사업으로 여성 흡연자의 금연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그들의 생활터를 방문하는 형태의 여성 대상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8) 본 연구는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경로로 등록된 여성 흡연자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의 6개월간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2015년 6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금연지원센터에서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에 자발적으로 등록한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은 지역 금연지원센터에 소속된 금연 상담사로부터 금연서비스를 6개월간 제공받았으며, 2018년 5월 30일까지 최종적으로 추적하였다. 금연서비스는 금연 상담과 관련된 표준 교육을 이수한 금연 상담사가 직장, 학교 및 쉼터 등 대상자의 생활터를 격주로 6개월간 방문하여 대면 상담 및 전화 상담을 제공했다. 성인 대상자의 경우 니코틴 의존도와 대상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니코틴 대체제(nicotine replacement therapy, NRT)를 지급하였다. 금연 성공 여부는 6개월간 상담에 참여한 대상자에게 소변 코티닌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자료는 금연 서비스 통합정보시스템에 입력된 정보를 한국건강증진 개발원의 건강증진 정보자료 제공 규정에 근거하여 연구 승인 후 제공받았다(2018-010). 본 연구는 기관 생명윤리위원회의 심의를 받았다(1806-011-068).

1. 연구 변수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6개월간 금연 성공 여부이다. 금연 성공 여부는 6개월간 상담에 참여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평가일 기준 2주일 전후에 파악했으며, 소변 코티닌 검사를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6개월간 금연 상담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기간 중에 재흡연한 경우는 금연 실패로 정의했다.

인구 사회학적 특성으로 나이와 등록 유형을 조사하였다. 나이는 연속형 변수와 20세 미만, 20–29세, 30–39세, 40세 이상의 범주형 분류를 함께 사용하였다. 등록 유형은 금연상담사가 방문한 생활터의 유형에 따라 학교 밖 청소년, 일반 성인 여성, 여자 대학생, 정신 장애인으로 분류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를 다니지 않는 청소년을 이르는 것으로 초, 중등 교육법 제 2조 2항에 따라 초등학교, 중학교 또는 이와 동일한 과정을 교육하는 학교에 입학한 후 3개월 이상 결석하거나, 취학 의무를 유예한 청소년, 고등학교 또는 이에 준하는 학교에서 제적, 퇴학 처분을 받거나 자퇴한 청소년, 진학하지 않은 청소년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학교 밖 청소년 대상자들은 청소년지원센터, 쉼터, 비인가 대안학교 등을 방문하여 등록하였다. 일반 성인 여성은 콜센터, 백화점, 생산시설, 미혼모 주거 시설 등 다양한 생활터를 방문하여 등록하였다. 정신 장애인은 대통령령 제31840호에 근거하여 지속적인 양극성 정동장애, 조현병, 조현정동장애 및 재발성 우울장애, 지속적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강박장애, 뇌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인한 기질적 정신 장애, 투렛장애 및 기면증에 따른 감정조절, 행동, 사고 기능 및 능력의 장애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으로 정의되며, 정신병원, 정신장애인 복귀 시설 등을 방문하여 등록하였다. 건강 관련 요인으로는 운동 여부, 음주 여부,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허리둘레를 조사하였다. 흡연행태 관련 요인으로 하루 평균 흡연량, 흡연 기간, 누적 흡연량(갑년=하루 평균 흡연량×흡연 기간), 첫 흡연 연령, Fagerströ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FTND)를 이용한 니코틴 의존도, 등록 시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를 조사하였다. 금연 상담과 관련된 요인으로 첫 상담 시 금연 동기, 금연 자신감, NRT 사용 여부 및 총 상담 참여 횟수를 조사하였다. 첫 상담 시 금연 동기 및 금연 자신감은 자가측정으로 10점 척도를 사용했다.5,7,9-13)

2. 분석방법

금연 유지 기간별 성공자와 실패자의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t-test와 및 카이 제곱 분석을 시행했다. 연령별, 등록 유형별 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 분석, ANOVA test 및 카이 제곱 분석을 시행했다. 학교 밖 청소년 및 대학생의 경우 특정 연령대에만 분포할 수 있으므로 연령별 특성 분석에는 등록 유형 변수를 제외하였다. 6개월 금연 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고, 모든 독립변수들을 포함하여 Wald 후진 제거법으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했다. 추가적으로 연령에 따른 그룹별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등록 유형에 따른 그룹별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SPSS version 22 (IBM Co., Armonk, NY, USA)를 이용했다.

결 과

1. 전체 대상자의 특성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 1,118명의 평균 나이는 28.88세였고, 10대 21.3%, 20대 43.6%, 30대 15.1%, 40대 이상 20%로 20대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등록 유형은 125명의 학교 밖 청소년, 718명의 일반 성인 여성, 242명의 여대생, 32명의 정신 장애인, 1명의 기타 등록자가 있었다(Table 1). 25.4%의 대상자가 주 1회 이상 운동을 한다고 답변했으며, 60.5%가 음주를 한다고 답변했다. 평균 BMI와 허리 둘레는 각각 20.94 kg/m2, 28.09 inch로 정상 범위에 속했다. 평균 흡연량은 10.04개비, 총 흡연 기간은 9.37년으로 조사되었고, 첫 흡연 연령은 평균 20.09세였다. 등록 당시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는 8.03 ppm이었다. 첫 상담 당시 금연 동기는 7.18점, 금연 자신감은 5.81점이었다. NRT를 적용한 대상은 36.85%였고, 평균 4.36회 상담에 참여했다(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ho failed and succeeded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VariableTotal (n=1,118)Failed (n=952)Succeeded (n=166)P-value
Age (y)28.88±12.0828.05±11.5233.64±14.01<0.001
Route
Adolescent125 (11.2)119 (12.5)6 (3.6)0.02
Adult female718 (64.2)600 (63.0)118 (71.1)
College student242 (31.6)205 (21.5)37 (22.3)
Psychiatric disabled32 (2.9)27 (2.8)5 (3.0)
Others1 (0.1)1 (0.1)0 (0.0)
Exercise (yes)284 (25.4)235 (24.7)49 (29.5)0.187
Drinking (yes)676 (60.5)567 (59.6)109 (65.7)0.138
BMI (kg/m2)20.94±4.2720.9±4.3621.16±3.700.467
WC (inch)28.09±8.3928.11±8.8427.95±5.110.821
Cigarettes smoked per day10.04±6.7710.46±6.697.66±6.77<0.001
Total smoking period9.37±8.779.16±8.5010.37±10.180.101
Pack years5±6.944.9703±6.415.187±9.440.71
Age at which first cigarette was smoked20.09±7.1319.45±6.4223.77±9.52<0.001
FTND scores3.06±2.353.22±2.332.14±2.23<0.001
CO (ppm)8.03±7.648.59±7.784.87±5.92<0.001
Importance7.18±2.237.08±2.277.68±1.970.007
Confidence5.81±2.355.57±2.317.15±2.15<0.001
NRT (yes)412 (0.4)338 (35.5)74 (44.6)0.025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4.36±4.393.46±3.649.55±4.74<0.001
Smoking abstinence prevalence rates
4 weeks359 (32.1)
12 weeks276 (24.7)
6 months166 (14.8)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number (%).

BMI, body mass index; WC, waist circumference; FTND, Fagerströ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CO, carbon monoxide; NRT,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P-values from χ2 test or t-test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any two groups.



2. 6개월 금연 성공자의 특성

6개월 금연 성공 그룹의 평균 연령이 33.64세로 실패 그룹 28.5세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고, 10대의 비율이 더 낮았으며, 40대의 비율이 더 높았다. 등록 유형의 분포는 6개월 성공 그룹에서 학교 밖 청소년의 비율이 3.6%로 더 낮았고, 일반 성인 여성의 비율이 71.1%로 더 높았다. 음주, 운동, BMI, 허리 둘레와 같은 건강 관련 요인은 두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흡연 행태 관련 요인 중 평균 흡연량은 금연 성공 그룹에서 7.66개비로 실패 그룹 10.46개비에 비해 더 적었다. 첫 흡연 연령은 금연 성공 그룹에서 23.77세로 금연 실패 그룹 19.45세에 비해 더 높았다. FTND로 계산한 니코틴 의존도는 6개월 금연 성공 그룹에서 2.14로 실패 그룹 3.22에 비해 더 낮았고, 등록 당시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는 금연 성공 그룹에서 4.87 ppm으로 금연 실패 그룹 8.59 ppm에 비해 더 낮았다. 총 흡연 기간과 갑년은 두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금연 상담 관련 요인인 금연 동기 및 금연 자신감은 금연 성공 그룹에서 각각 7.68점, 7.15점으로 금연 실패 그룹의 7.08점, 5.57점에 비해 더 높았다. 금연 성공 그룹에서 NRT 사용 빈도가 44.6%로 실패 그룹의 35.5%에 비해 더 높았으며, 금연 상담 참여 횟수는 금연 성공 그룹에서 평균 9.55회로 금연 실패 그룹의 3.46회에 비해 더 높은 빈도로 상담에 참여하였다. 1,118명의 전체 여성 흡연자 중 32.1%에 해당하는 359명이 4주 금연 유지에 성공했고, 14.8%에 해당하는 166명이 6개월 금연 유지에 성공했다(Table 1).

3. 연령별 특성

연령별 그룹은 10대(20세 미만), 20대(20–29세), 30대(30–39세) 및 40대(40세 이상)로 구분하여 독립변수의 빈도 또는 평균값을 비교했고, 니코틴 의존도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4주, 12주 및 6개월 금연 성공률 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2). 운동 비율은 30대에서 15.4%로 유의하게 낮았고, 음주율은 10대, 20대가 68.5%, 63.0%로 30대, 40대에 비해 더 높았다. BMI는 22.25 kg/m2로 40대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허리 둘레는 30대가 29.69 inch로 10대, 20대보다 더 높았다. 하루 평균 흡연량은 10대에서 11.57개비로 40대에 비해 많았고, 총 흡연 기간, 갑년 및 첫 흡연 나이는 그룹의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높아졌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니코틴 의존도는 연령별 차이가 없었다.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는 10대가 6.20 ppm으로 20대, 30대에 비해 더 낮았다. 첫 상담 시 금연의 중요도와 금연 자신감은 40대가 7.70점. 6.27점으로 10대의 6.74점, 5.53점 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NRT 사용 비율은 20대, 30대가 41.9%, 45.0%로 10대, 40대보다 높았다. 총 상담 참여 횟수는 40대가 6.22회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 높았다. 6개월 성공률은 40대에서 26.3%로 다른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았다.

Table 2

Characteristics of subjects by age group

VariableAge group (y)P-value
<2020–2930–39≥40
Exercise (yes)71 (29.8)122 (25.1)26 (15.4)65 (29.0)0.050
Drinking (yes)163 (68.5)307 (63.0)93 (55.0)13 (50.4)<0.001
BMI (kg/m2)20.49±3.8320.60±3.4120.85±3.4222.25±6.28<0.001
WC (inch)27.30±3.5827.60±3.6129.69±19.6828.78±3.920.010
Cigarettes smoked per day11.57±8.599.44±5.6510.02±5.939.73±7.220.001
Total smoking period2.57±2.015.92±3.8813.66±4.8620.70±10.60<0.001
Pack years1.56±1.703.08±2.917.18±5.9211.19±11.42<0.001
Age at which first cigarette was smoked15.47±2.3417.95±2.9420.93±4.7729.02±9.97<0.001
FTND scores3.17±2.463.00±2.332.99±2.253.13±2.340.770
CO (ppm)6.20±6.908.38±7.499.66±7.828.06±8.26<0.001
Importance6.74±2.277.17±2.187.21±2.197.70±2.240.002
Confidence5.53±2.465.80±2.355.80±2.166.27±2.330.049
NRT58 (24.4)204 (41.9)76 (45.0)74 (33.0)<0.001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3.62±3.243.88±3.824.34±4.426.22±5.87<0.001
Smoking abstinence prevalence rates
4 weeks41 (17.2)162 (33.3)59 (34.9)97 (43.3)<0.001
12 weeks31 (13.0)127 (26.1)37 (21.9)81 (36.2)<0.001
6 months21 (8.8)66 (13.6)20 (11.8)59 (26.3)<0.001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or mean±standard deviation.

BMI, body mass index; WC, waist circumference; FTND, Fagerströ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CO, carbon monoxide; NRT,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P-values from χ2 test or ANOVA test.



4. 등록 유형별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등록한 생활터에 따라 학교 밖 청소년, 일반 성인 여성, 여자 대학생 및 정신장애인으로 분류하였고, 등록 유형별 6개월 금연 성공률과 대상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Table 3). 기타 등록자 1명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네 그룹은 허리 둘레를 제외한석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4주, 12주 및 6개월 금연 성공률 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나이는 정신 장애인 유형이 46.09세로 가장 많았다. 운동 비율은 정신 장애인 유형에서 46.09%로 가장 높았고, 음주율은 대학생 유형에서 82.6%로 가장 높았다. BMI는 정신 장애인과 성인 여성 유형에서 22.87 kg/m2, 21.18 kg/m2로 학교 밖 청소년, 대학생 유형보다 높았다. 하루 평균 흡연량은 학교 밖 청소년 유형이 13.35개비로 일반 성인 여성, 여대생 유형에 비해 더 많았다. 총 흡연 기간과 갑년은 정신 장애인 유형에서 21.81년, 13.25갑년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 성인 여성 유형은 11.76년, 6.15갑년으로 학교 밖 청소년 및 여대생 유형에 비해 더 높았다. 첫 흡연 연령은 학교 밖 청소년 유형에서 14.28세로 가장 낮았고, 여대생 유형은 17.31세로 일반 성인 여성, 정신 장애인 유형에 비해 더 낮았다. 니코틴 의존도는 정신 장애인 유형과 학교 밖 청소년 유형에서 4.25점, 3.74점으로 일반 성인 여성, 여대생 유형보다 높았다.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는 장애인 유형에서 13.03 ppm으로 가장 높고, 일반 성인 여성에서 8.67 ppm으로 여대생, 학교 밖 청소년 유형에 비해 더 높았다. 금연 중요도는 학교 밖 청소년 유형이 6.26점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금연 자신감은 학교 밖 청소년 유형이 여대생, 정신 장애인 유형에 비해 더 낮았다. 금연 상담 참여 횟수는 정신 장애인 유형이 9.75회로 가장 높았고, 일반 성인 여성 유형도 4.72회로 학교 밖 청소년, 여대생 유형에 비해 더 높았다. 6개월 금연 성공률은 학교 밖 청소년 유형이 4.8%로 다른 유형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Table 3

Characteristics of subjects by registration type

VariableAdolescentAdult femaleCollege studentPsychiatric disabledP-value
Age (y)16.26±2.1433.08±11.7120.50±2.3846.09±9.12<0.001
Exercise (yes)32 (25.6)148 (20.6)88 (36.4)16 (50.0)<0.001
Drinking (yes)72 (57.6)394 (54.9)200 (82.6)9 (28.1)<0.001
BMI (kg/m2)20.29±4.3321.18±4.5820.32±2.9722.87±4.110.002
WC (inch)27.32±3.1028.42±10.1727.40±2.7928.66±5.920.351
Cigarettes smoked per day13.35±9.719.60±6.069.29±6.1912.41±8.23<0.001
Total smoking period2.61±2.3211.76±8.753.83±3.0021.81±12.34<0.001
Pack years1.74±1.856.15±7.502.03±2.2813.25±10.62<0.001
Age at which first cigarette was smoked14.28±1.9921.84±7.7417.31±2.6624.72±9.31<0.001
FTND scores3.74±2.713.04±2.272.59±2.224.25±2.42<0.001
CO (ppm)5.38±6.438.67±7.796.90±6.7913.03±10.27<0.001
Importance6.26±2.677.30±2.157.26±2.037.70±2.85<0.001
Confidence5.22±2.885.79±2.206.05±2.316.90±2.830.006
NRT0 (0.0)300 (41.8)107 (44.2)4 (12.5)<0.001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3.64±2.804.72±4.762.98±2.639.75±6.02<0.001
Smoking abstinence prevalence rates
4 weeks11 (8.8)278 (38.7)60 (24.8)10 (31.3)<0.001
12 weeks9 (7.2)211 (29.4)49 (20.2)7 (21.9)<0.001
6 months6 (4.8)118 (16.4)37 (15.3)5 (15.6)<0.01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or number (%).

BMI, body mass index; WC, waist circumference; FTND, Fagerströ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CO, carbon monoxide; NRT,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P-values from χ2 test or ANOVA test.



5. 6개월 금연 성공 관련 요인

6개월 금연 성공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6개월 금연 성공여부를 종속 변수로 설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 변수 중 연령별 그룹, 등록 유형, 음주 여부, 운동 여부, NRT 사용에 대한 변수는 범주형으로 그 외의 변수는 연속형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교란 변수를 보정하지 않은 Crude model에서 나이가 많을수록(odds ratio [OR], 1.03;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1.05) 금연 성공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40대에 비해 10대(OR, 0.27; 95% CI, 0.16–0.46), 20대(OR, 0.44; 95% CI, 0.30–0.65) 및 30대(OR, 0.38; 95% CI, 0.22–0.65)의 금연 성공률이 더 낮았다. 학교 밖 청소년 유형과 비교할 때에 성인 여성(OR, 3.90; 95% CI, 1.68–9.07), 대학생(OR, 3.58; 95% CI, 1.47–8.73), 정신 장애인(OR, 3.67; 95% CI, 1.04–12.93) 유형에서 유의하게 성공률이 높았다. 하루 평균 흡연량이 적을수록(OR, 0.92; 95% CI, 0.89–0.95), 첫 흡연 연령이 낮을수록(OR, 1.07; 95% CI, 1.05–1.09), 니코틴 의존도가 더 낮을수록(OR, 0.81; 95% CI, 0.74–0.87),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가 낮을수록(OR, 0.91; 95% CI, 0.88–0.94) 금연 성공률이 높았다. 금연 동기가 높을수록(OR, 1.14; 95% CI, 1.03–1.25), 금연 자신감이 높을수록(OR, 1.35; 95% CI, 1.23–1.48) 더 성공률이 높았다. NRT를 적용한 군에서 금연 성공률이 더 높았고(OR, 1.46; 95% CI, 1.05–2.04), 상담에 많이 참여할수록(OR, 1.34; 95% CI, 1.287–1.403)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독립변수를 모두 포함시켜 Wald 후진 제거법으로 시행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는 연령의 경우 40대에 비해 10대(OR, 0.19; 95% CI, 0.72–0.52), 20대(OR, 0.25; 95% CI, 0.10–0.64) 및 30대(OR, 0.17; 95% CI, 0.05–0.57)에서, 등록 유형의 경우 학교 밖 청소년 유형에 비해 정신 장애인 유형(OR, 0.19; 95% CI, 0.03–1.38)에서 더 낮은 6개월 금연 성공률을 보였다. 총 흡연 기간이 짧을수록(OR, 0.94; 95% CI, 0.89–0.98), 니코틴 의존도가 낮을수록(OR, 0.79; 95% CI, 0.69–0.91),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가 낮을수록(OR, 0.96; 95% CI, 0.91–1.01)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첫 상담 시 금연 자신감이 높고(OR, 1.21; 95% CI, 1.06–1.37), 총 상담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OR, 1.51; 95% CI, 1.40–1.63) 6개월 금연 성공률이 더 높아졌다(Table 4).

Table 4

OR and 95% CI from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s for the factors associated 6 months smoking cessation

VariableCrudeMulti-variated
OR95% CIP-valueOR95% CIP-value
Age (y)1.031.02–1.05<0.001
<200.270.16–0.46<0.0010.190.72–0.520.001
20–290.440.30–0.65<0.0010.250.10–0.640.004
30–390.380.22–0.65<0.0010.170.05–0.570.005
≥401(reference)
Registration type
Adolescent1(reference)
Adult female3.901.68–9.070.0021.540.41–5.790.524
College student3.581.47–8.730.0053.380.99–11.500.052
Psychiatric disabled3.671.04–12.930.0430.190.03–1.380.1
Exercise (yes)1.280.89–1.840.188
Drinking (yes)1.300.92–1.830.138
BMI (kg/m2)1.010.98–1.050.47
WC (inch)1.000.97–1.020.823
Cigarettes smoked per day0.920.89–0.95<0.001
Total smoking period1.021.00–1.030.1020.940.89–0.980.005
Pack years1.000.98–1.030.71
Age at which first cigarette was smoked1.0681.05–1.09<0.001
FTND scores0.810.74–0.87<0.0010.790.69–0.910.001
CO (ppm)0.910.88–0.94<0.0010.960.91–1.010.098
Importance1.141.03–1.250.008
Confidence1.351.23–1.48<0.0011.211.06–1.370.003
NRT1.461.05–2.040.026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1.3441.29–1.40<0.0011.511.40–1.63<0.001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BMI, body mass index; WC, waist circumference; FTND, Fagerströ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CO, carbon monoxide; NRT,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P-values from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by Wald backward elimination including all variables.



6. 연령 그룹별 6개월 금연 성공 관련 요인

연령 그룹별 6개월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다중 회귀 분석 결과 모든 연령에서 총 금연상담 참여 횟수가 높을수록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10대에서는 총 흡연기간이 길고(OR, 2.42; 95% CI, 1.21–4.85), 갑년이 낮고(OR, 0.05; 95% CI, 0.01–0.37), 니코틴 의존도가 낮고(OR, 0.46; 95% CI, 0.22–0.97), NRT를 사용한 그룹에서(OR, 12.03; 95% CI, 1.50–96.39) 더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20대에서는 짧은 흡연 기간(OR, 0.89; 95% CI, 0.82–0.98), 낮은 니코틴 의존도(OR, 0.65; 95% CI, 0.54–0.79)와 연관이 있었다. 30대에서는 첫 상담 시 높은 금연 자신감(OR, 1.80; 95% CI, 1.03–3.15)이 연관 있었고, 40대에서는 낮은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OR, 0.90; 95% CI, 0.84–0.98), 첫 상담 시 높은 금연 자신감(OR, 1.30; 95% CI, 1.04–1.62)이 연관 있었다(Table 5).

Table 5

Factors related to smoking cessation success by age group

VariableAge group (y)
<1020–2930–39≥40
OR95% CIP-valueOR95% CIP-valueOR95% CIP-valueOR95% CIP-value
Cigarettes smoked
per day
1.220.98–1.510.07
Total smoking period2.421.21–4.850.0130.890.82–0.980.0130.840.69–1.030.0870.950.90–1.000.066
Pack years0.050.01–0.370.004
FTND scores0.460.22–0.970.0410.650.54–0.79<0.0010.500.24–1.040.064
CO (ppm)0.900.84–0.980.011
Confidence1.801.03–3.150.0381.301.04–1.620.022
NRT12.031.50–96.390.019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2.401.50–3.84<0.0011.511.35–1.68<0.0011.671.26–2.21<0.0011.321.18–1.47<0.001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FTND, Fagerströ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CO, carbon monoxide; NRT,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P-values from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by Wald backward elimination including all variables.



7. 등록 유형별 6개월 금연 성공 관련 요인

등록 유형별 6개월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유형별로 다중 회귀 분석을 진행하였다. 기타 유형의 경우 대상자가 1명이라서 분석에서 제외하였고, 정신 장애인 유형 또한 유효 값 20명으로 통계 모형에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에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 유형의 경우 NRT 지급이 불가능한 대상이기 때문에 분석 시 변수에서 제외하였다. 학교 밖 청소년 유형의 경우 낮은 평균 흡연량(OR, 2.69; 95% CI, 0.08–0.94), 낮은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OR, 1.61; 95% CI, 1.01–2.57)이 영향을 미쳤고, 일반 성인 여성 유형은 높은 연령(OR, 1.06; 95% CI, 1.02–1.10), 낮은 니코틴 의존도(OR, 0.83; 95% CI, 0.71–0.98) 및 첫 상담 시 높은 금연 자신감(OR, 1.23; 95% CI, 1.04–1.46)이 6개월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 대학생 유형에서는 높은 연령(OR, 2.23; 95% CI, 1.15–4.33), 낮은 허리 둘레(OR, 0.75; 95% CI, 0.61–0.93), 짧은 총 흡연 기간(OR, 0.40; 95% CI, 0.20–0.82) 및 낮은 니코틴 의존도(OR, 0.53; 95% CI, 0.33–0.83)이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 총 상담 참여 횟수는 모든 유형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Table 6).

Table 6

Factors related to smoking cessation success by registration type

VariableAdolescentsAdult femaleCollege student
OR95% CIP-valueOR95% CIP-valueOR95% CIP-value
Age1.061.02–1.100.0022.231.15–4.330.018
WC (inch)0.750.61–0.930.007
Cigarettes smoked per day0.270.08–0.940.04
Total smoking period0.950.90–1.000.0590.400.20–0.820.012
Pack years
Age at which first cigarette
was smoked
0.520.26–1.060.071
FTND scores0.830.71–0.980.0250.530.33–0.830.006
CO (ppm)1.611.01–2.570.047
Importance
Confidence1.231.04–1.460.016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2.781.20–6.430.0171.491.37–1.63<0.0012.121.64–2.73<0.001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WC, waist circumference; FTND, Fagerströ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CO, carbon monoxide.

P-values from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by Wald backward elimination including all variables.


고 찰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여성 흡연자들의 6개월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 금연지원센터에서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를 이용한 여성 1,11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요인을 포함하여 진행한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40세 이상의 연령, 흡연 기간이 짧고, 니코틴 의존도와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가 낮으며, 첫 상담 시 금연 자신감이 높은 경우, 그리고 상담에 참여한 횟수가 많은 경우에 6개월 금연 성공률이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40대 이상의 여성들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금연 성공률이 높았다. 연령 증가와 금연 성공률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는 연령이 1세 증가할 때 금연 성공률이 1.0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었지만 다중 회귀 분석에서는 연령 증가에 따른 금연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대별 분석에서는 40대에서만 유의하게 금연 성공률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30대에서 20대보다 오히려 낮은 금연 성공률을 보였다. 기존 연구들에서 연령과 금연 성공률의 상관관계는 연구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인다. 장기 금연과 관련하여 대해 폴란드에서 진행했던 설문 연구에서는 남녀 모두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금연 성공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는데,9) 해당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된 단면 연구였고, 해외 연구로 국내 여성에 적용시키기에는 제한이 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신규등록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는 남성은 연령이 증가할 수록 금연 성공률이 높아지는 반면, 여성은 20대의 금연 성공률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5) 해당 연구는 10대 흡연자를 포함하지 않았고 대상자 중 20대 여성 흡연자의 비율이 가장 낮았기 때문에 전체 흡연 여성을 대표한다고 할 수 없다.

흡연 행태 관련 요인 중 짧은 총 흡연 기간과 낮은 니코틴 의존도 및 낮은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가 전체 대상자의 금연 성공과 연관이 있었다. 총 흡연 기간과 FTND를 통해 측정된 니코틴 의존도는 선행 연구들을 통해 금연 성공률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4,15) 특이점은 연령별 분석에서 총 흡연 기간의 경우 10대에서는 흡연 기간이 길수록 성공률이 높아지고, 20대에서는 흡연 기간이 짧을수록 성공률이 높아지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는데, 10대의 경우 학교 밖 청소년, 여대생, 일반 성인 여성이 포함되어 있고, 총 흡연 기간이 짧게 보고된 학교 밖 청소년의 금연 성공률이 낮은 것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니코틴 의존도는 전 연령층에서 니코틴 의존도가 낮을수록 금연 성공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10대와 20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높은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는 높은 수준의 하루 흡연량을 반영하며,16) 높은 니코틴 의존도와도 연관이 있으며17) 낮은 금연 성공률과도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5) 연령별 분석에서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와 금연 성공률은 40대에서 기존 연구결과들과 동일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유형별 분석에서 학교 밖 청소년 그룹의 경우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와 금연 성공률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형별 특성 비교 시 학교 밖 청소년 유형은 하루 평균 흡연량 질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일반 성인 여성 및 여대생 유형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반해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의 경우 학교 밖 청소년 유형에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유형별 다중 회귀 분석에서 학교 밖 청소년 유형에서 평균 흡연량이 적을수록 금연 성공률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이는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측정을 시행하는 청소년 지원센터 및 쉼터 등의 생활터가 금연 구역이므로, 다른 유형에 비해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가 하루 흡연량을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생활터에서 흡연을 할 수 없는 학교 밖 청소년뿐만 아니라, 중 고등학교의 흡연 적발 학생을 포함시켜 흡연량,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및 금연 성공률의 연관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금연 상담 관련 요인 중 첫 상담 시 금연 자신감이 높을수록, 상담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금연 중요도 및 준비도와 함께 금연 동기에 대한 척도 중 하나인 금연에 대한 자신감은 흡연량이 많을수록 낮은 경향이 있고, 금연 성공률과도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4,18) 연령별 분석에서는 30대와 40대에서 금연 자신감이 금연 성공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특히 30대에서는 금연 자신감이 1점 증가할 때 금연 성공률이 1.80배 증가하여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NRT를 적용할 경우 금연 성공률이 대조군에 비해 1.6배 가량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19) 선행 연구들에서도 NRT을 사용한 그룹에서 금연 성공률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5,20,21)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고, 연령별 분석에서는 10대에서 매우 높은 연관성을 보였지만 NRT 적용이 불가능한 19세 미만을 제외할 경우 대상자가 매우 적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는 없다. 상담 참여 횟수는 전 연령대에서 연관이 있었는데, 재흡연자의 경우 금연 상담이 종결되고, 금연을 유지 중인 등록자만 상담을 지속하기 때문에 재흡연자의 상담 참여 횟수는 필연적으로 낮아지므로, 상담 참여 횟수를 유의미한 독립 변인으로 선정하기에는 논란이 있다.

등록 유형별 성공률의 경우 단변량 분석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 유형에 비해 나머지 유형들이 3배 이상 성공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다중 회귀 분석 결과 오히려 정신 장애인 유형에서 학교 밖 청소년 유형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성공률을 보였다. 이는 정신 장애인 유형에서 보였던 높은 금연 상담 참여 횟수가 통계적 보정 과정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금연 서비스 등록 후 재흡연한 경우 더 이상 상담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상담 참여 횟수는 금연 성공률과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하지만 정신 장애인의 경우 정신 병원, 사회복귀 시설 등을 방문하여 상담이 진행되었고, 해당 장소는 학교나 직장과 달리 주거지 개념이기 때문에 금연 유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담 참여 횟수가 높았다. 전체 여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회귀 분석에서 건강 관련 요인들은 금연 성공률과 의미 있는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대학생 유형에서는 허리 둘레가 낮을수록 성공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었다. 첫 번째, 단일기관 연구로 표본의 수가 적었다. 특히 정신 장애인의 경우 모든 요인이 6개월 금연 성공과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왔지만, 대상자가 32명으로 결과 해석에 제한이 있고,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 금연 성공자 수가 6명으로 적어서 통계적 power가 낮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표본의 연령분포에서 흡연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진 20대의 비율이 높다는 강점이 있었으나, 40세 이상 흡연자의 비율이 낮았기 때문에 다기관 연계를 통해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학교를 다니는 청소년이 포함되지 않았다. 지역 금연지원센터의 자료를 활용한 연구이므로,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의 대상이 아닌 일반 학생의 자료를 포함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전체 청소년을 반영하는 연구 결과라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강점을 가진다. 첫 번째, 금연 클리닉 방문을 꺼리는 여성 흡연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여성의 생활터를 직접 방문하여 진행한 연구였다. 두 번째, 다양한 연령 및 유형의 여성을 포함시켰고, 대상자 연령의 분포가 실제 연령별 흡연율과 유사했다. 세 번째, 연령별, 유형별 세부 분석을 진행하여 이들의 금연 성공과 연관된 요인을 확인하였다.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를 통해 등록한 여성 흡연자들은 총 흡연 기간이 짧을수록, 니코틴 의존도가 낮을수록,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농도가 낮을수록, 금연자신감이 높을수록 상담횟수가 많을수록 높은 6개월 금연 성공률을 보였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2021 Research Gran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Jha P, Ramasundarahettige C, Landsman V, Rostron B, Thun M, Anderson RN, et al. 21st-century hazards of smoking and benefits of cessation in the United States. N Engl J Med 2013; 368: 341-50.
    Pubmed CrossRef
  2. Sakata R, McGale P, Grant EJ, Ozasa K, Peto R, Darby SC. Impact of smoking on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in Japanese smokers: a prospective cohort study. BMJ 2012; 345: e7093.
    Pubmed KoreaMed CrossRef
  3. Flemming K, Graham H, Heirs M, Fox D, Sowden A. Smoking in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of women who commence pregnancy as smokers. J Adv Nurs 2013; 69: 1023-36.
    Pubmed CrossRef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act She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CrossRef
  5. Kim JS, Kang SJ, Kim DJ, Choi IY, Choi BS. Success factors of new enrollees at smoking cessation clinics in the nationwide public health centers in Korea based on gender differences. Korean Public Health Res 2018; 44: 17-30.
  6. Park AH, Choi JH, Kim HK. Smoking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al strategies in cessation interventions for female smoker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20; 37: 29-42.
    CrossRef
  7. Al-Nimr YM, Farhat G, Alwadey A. Factors affecting smoking initiation and cessation among Saudi women attending smoking cessation clinics. Sultan Qaboos Univ Med J 2020; 20: e95-9.
    Pubmed KoreaMed CrossRef
  8. Cho JH, Lee SH, Sohn JW, Yang HY. The abstinence rate of the inpati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J Korean Soc Res Nicotine Tob 2017; 8: 88-95.
    CrossRef
  9. Macy JT, Seo DC, Chassin L, Presson CC, Sherman SJ. Prospective predictors of long-term abstinence versus relapse among smokers who quit as young adults. Am J Public Health 2007; 97: 1470-5.
    Pubmed KoreaMed CrossRef
  10. Kaleta D, Korytkowski P, Makowiec-Dąbrowska T, Usidame B, Bąk-Romaniszyn L, Fronczak A. Predictors of long-term smoking cessation: results from the global adult tobacco survey in Poland (2009-2010). BMC Public Health 2012; 12: 1020.
    Pubmed KoreaMed CrossRef
  11. Kim SR, Kim HK, Kim JY, Kim HY, Ko SH, Park M. Smoking cessation failure among Korean adolescents. J Sch Nurs 2016; 32: 155-63.
    Pubmed CrossRef
  12. Jung KM, Han BD, Cho SJ, Nam GE, Eum DH, Kim JH,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Korean J Fam Pract 2018; 8: 601-6.
    Pubmed KoreaMed CrossRef
  13. Klemperer EM, Mermelstein R, Baker TB, Hughes JR, Fiore MC, Piper ME, et al.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attempts and success following motivation-phase interventions among people initially unwilling to quit smoking. Nicotine Tob Res 2020; 22: 1446-52.
    Pubmed KoreaMed CrossRef
  14. Lee Y, Lee KS, Kim H. Predictors of abstinence from smoking: a retrospective study of 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smoking cessation service.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9; 16: 3363.
    Pubmed KoreaMed CrossRef
  15. Lee KJ, Chang CJ, Kim MS, Lee MH, Cho YH.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during 6 months. J Korean Acad Nurs 2006; 36: 742-50.
    Pubmed CrossRef
  16. Hung J, Lin CH, Wang JD, Chan CC. Exhaled carbon monoxide level as an indicator of cigarette consumption in a workplace cessation program in Taiwan. J Formos Med Assoc 2006; 105: 210-3.
    Pubmed CrossRef
  17. Babaoğlu E, Karalezli A, Er M, Hasanoğlu HC, Öztuna D. Exhaled carbon monoxide is a marker of heavy nicotine dependence. Turk J Med Sci 2016; 46: 1677-81.
    Pubmed CrossRef
  18. Ni K, Wang B, Link AR, Sherman SE. Does smoking intensity predict cessation rates? A study of light-intermittent, light-daily, and heavy smokers enrolled in two telephone-based counseling interventions. Nicotine Tob Res 2020; 22: 423-30.
    Pubmed KoreaMed CrossRef
  19. Stead LF, Perera R, Bullen C, Mant D, Hartmann-Boyce J, Cahill K, et al.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for smoking cessat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 11: CD000146.
    Pubmed CrossRef
  20. Ellerbeck EF, Nollen N, Hutcheson TD, Phadnis M, Fitzgerald SA, Vacek J, et al. Effect of long-term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vs standard smoking cessation for smokers with chronic lung diseas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Netw Open 2018; 1: e181843.
    Pubmed KoreaMed CrossRef
  21. Carpenter MJ, Wahlquist AE, Dahne J, Gray KM, Garrett-Mayer E, Cummings KM, et al.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sampling for smoking cessation within primary care: results from a pragmatic clus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Addiction 2020; 115: 1358-67.
    Pubmed KoreaMed CrossRef


This Article

e-submission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