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Fam Pract 2021; 11(1): 74-80  https://doi.org/10.21215/kjfp.2021.11.1.74
Association of Maintaining Healthy Habits with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Diabetes, Dyslipidemia or Hypertension
Jeong Hyeon Kim1, Young Ho Yun1,2,*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Young Ho Yun
Tel: +82-2-740-8417, Fax: +82-2-742-5947
E-mail: lawyun@snu.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2-2740-7279
Received: August 21, 2020; Revised: December 8, 2020; Accepted: December 21, 2020; Published online: February 20, 2021.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maintaining healthy habits and the number of well-controlled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aking medication.
Methods: The population in this 6-month prospective cohort study was registered from November 4, 2016, to February 27, 2017; 297 patients with one or more clinical outcomes of chronic diseases (diabetes, dyslipidemia, or hypertension) were registered and followed up.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ose who had an increased number of well-controlled chronic diseases and those who did not have an increased number of well-controlled chronic diseases. The adoption of the 12 healthy habits in the transtheoretical model was compared between the group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alyzed the association of each healthy habit with the number of well-controlled chronic diseases, with adjustment for age and sex. An analysis of the association with adjustment for age, sex, and medication was also conducted.
Results: Patients maintaining the four habits of regular exercise, a balanced diet, proactive living, and helping others tended to have an increased number of well-controlled clinical outcome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ce. The four habits indicated a significantly higher probability of an increased number of well-controlled clinical outcomes regardless of age and sex. After the adjustment for age, sex, and medication, these data suggest that adopting the four habits increases the number of well-controlled clinical outcomes.
Conclusion: Proactive living, helping others, exercising regularly, and having a balanced diet might be recommended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taking medication.
Keywords: Health Behavior; Chronic Disease Indicator;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Dyslipidemia
서 론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은 한국인 사망률의 2, 3위를 다투는 심장 질환과 뇌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이다.1,2) 미국심장혈관학회의 가이드라인에서도 심장 질환과 뇌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이 질환들을 잘 조절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2) 약물치료 못지않게 건강한 식습관, 운동, 금연, 절주 등 다양한 건강습관들이 이 질환들을 조절하고 심혈관질환의 사망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3-6)는 사실과 행동변화의 전이이론적 모델(transtheoretical model, TTM)과 같은 적절한 개입이 당뇨병, 고혈압 환자의 건강습관을 개선할 수 있다7-9)는 사실은 앞선 연구에서 밝혀져 있다.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은 유병 기간이 긴 질환이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는 질환이다.10) 장기간 이환하는 질병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실천하지 않고 있는 건강습관을 개선하는 것만큼 유지하고 있는 건강습관을 잘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전반적인 건강습관이 양호할수록 대사증후군의 발생률이 낮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건강습관이 불량해질 경우 발생률이 높아진다는 기존 연구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6,11,12)

이 연구는 건강습관의 유지와 6개월 후의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의 조절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로 각각의 건강습관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계획되었다. 건강습관을 유지하는 환자에서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의 조절 정도를 반영하는 임상지표인 당화혈색소, 저밀도콜레스테롤, 수축기 혈압이 개선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6개월간의 코호트 연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방 법

이 연구는 2016년 11월 4일부터 2017년 2월 27일까지 모집한 연구대상자 724명 중 6개월간의 추적관찰에 참여한 297명 환자들의 코호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가분석한 연구이다. 해당 데이터는 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조사되었다(IRB No: H-1512-131-731).

하나 이상의 만성질환(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을 가진 297명의 환자들을 6개월간의 추적관찰한 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임상지표 중 잘 조절되는 임상지표의 수를 종합적인 만성질환을 반영하는 지표로 삼았다. 임상지표가 잘 조절된다고 판단하는 기준은 당화혈색소 7% 미만, 저밀도콜레스테롤 130 mg/dL 미만, 수축기 혈압 140 mmHg 미만으로 설정하였다.13) 임상지표들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등록 시점과 6개월 후에 잘 조절되는 임상지표의 숫자의 차를 구하였다.

건강습관의 유지 여부는 긍정적인 마음 갖기, 규칙적인 운동 실천하기, 건강한 음식 바르게 먹기, 적극적인 삶 살기, 정기적으로 건강검진,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시간, 영성 관리하기, 금연, 절주, 과로는 금물, 일과 삶의 균형 지키기,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삶을 생각하기(가족 및 대인관계), 꾸준히 약물 복용하기로 이루어진 12가지 건강습관14-17)에 대하여 TTM에 따라 1. 현재 실천하고 있지 않으며 앞으로도 실천할 생각 없음(고려전 단계), 2. 현재 실천하고 있지 않지만 6개월 이내에 실천할 생각임(고려 단계), 3. 현재 실천하고 있지 않으나 1달 이내 실천할 생각임(준비 단계), 4. 실천한 지 6개월 되지 않았음(실행 단계), 5. 실천한 지 6개월 넘음(유지 단계)으로 구성된 보기 중에서 환자들이 연구 시작 시점에 직접 응답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실천한 지 6개월 넘은 경우(유지 단계)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였다.18-20) 연구참여자들의 연령, 성별과 유질환자의 비율, 연구 시작 시점에 임상지표별로 잘 조절되는 비율을 확인하였고 연령에 따라 65세 미만인 군과 65세 이상인 군으로 나누었다.

표본 중에서 연령과 건강습관에 대한 설문이 한 문항이라도 결측값인 경우 또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Figure 1). 임상지표가 결측값인 경우는 잘 조절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최종적으로 262명의 환자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Figure 1. Flow of study selection. If the samples had null value in the survey of age and health habits, it was also excluded from the analysis. If clinical outcomes are missing values, they are considered poorly controlled, coding as zero. Finally, 262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6개월 후 조절되는 임상지표의 수가 증가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두 군 사이에 개별 건강습관의 유지 여부를 비교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카이제곱검정을 시행하였다. 이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건강습관을 대상으로 성별과 연령을 보정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복약순응도와 독립적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에는 R version 3.6.1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을 사용하였고, 유의수준 P-value 0.05 미만을 만족하는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결측값을 처리한 후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총 262명이었고, 6개월 후 잘 조절되는 임상지표의 수가 증가한 군은 49명(18.7%), 그렇지 않은 군은 213명(81.3%)이었다. 65세 미만인 환자는 48.1% (126명)이었고, 남성 40.1%, 여성 59.9%로 구성되었다. 대상자 중 39.3%가 당뇨병 유질환자이었으며 50.4%가 이상지질혈증 유질환자이었다. 고혈압 유질환자는 55%이었다. 연구 시작 시점에 당화혈색소가 잘 조절되는 비율은 48.7%이었고 저밀도콜레스테롤이 잘 조절되는 비율은 82.3%, 수축기 혈압이 잘 조절되는 비율은 72.4%이었다. 2가지 이상의 임상지표를 잘 조절하는 환자의 비율은 31.3%이었고 3가지 임상지표를 모두 잘 조절하는 비율은 5.7%이었다(Table 1).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Number of patients (n=262)
Age (y)
≥65136 (51.9)
Sex
Female157 (59.9)
DM
Presence103 (39.3)
DL
Presence132 (50.4)
HTN
Presence144 (55.0)
Controlled HbA1c
Yes58 (48.7)
Controlled LDL
Yes107 (82.3)
Controlled SBP
Yes113 (72.4)
More than two controlled clinical outcomes
Yes82 (31.3)
Three controlled clinical outcomes
Yes15 (5.7)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DM, diabetes mellitus; DL, dyslipidemia; HTN, hypertension; HbA1c, glycated hemoglobin; LDL, low density lipoprotein; SBP, systolic blood pressure.



6개월 후 조절되는 임상지표의 수가 증가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을 비교하였을 때, 증가한 군에서 건강습관을 유지하는 비율의 차이가 유의미했던 건강습관은 규칙적인 운동 실천하기(P-value=0.015), 건강한 음식 바르게 먹기(P-value=0.011), 적극적인 삶 살기(P-value=0.016),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시간(P-value=0.042)이었다(Table 2).

Table 2

Univariate analysis for the association of health habit with the number of well-controlled clinical outcomes or not

Well-controlledclinical outcomesNot increased(n=213)Increased(n=49)P-value
Positive thinking0.068
In maintenance stage153 (71.8)42 (85.7)
Regular exercise0.015
In maintenance stage113 (53.1)36 (73.5)
Balanced diet0.011
In maintenance stage135 (63.4)41 (83.7)
Proactive living0.016
In maintenance stage148 (69.5)43 (87.8)
Regular check-ups0.091
In maintenance stage177 (83.1)46 (93.9)
Helping others0.042
In maintenance stage85 (39.9)28 (57.1)
Regular religious life0.172
In maintenance stage118 (55.4)33 (67.3)
Quitting smoking0.803
In maintenance stage195 (91.5)46 (93.9)
Cutting back on alcohol0.470
In maintenance stage180 (84.5)44 (89.8)
Work-life balance0.245
In maintenance stage154 (72.3)40 (81.6)
Living with loved ones0.067
In maintenance stage169 (79.3)45 (91.8)
Medication0.210
In maintenance stage195 (91.5)48 (98.0)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12가지 건강습관 중 다른 11가지 건강습관을 성별, 연령과 함께 보정하여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유의한 건강습관은 없었다(Supplement 1). 카이제곱검정에서 두 군 사이의 비율 차이가 유의했던 4가지 건강습관들에 대하여 성별과 65세 기준으로 나눈 연령에 대해서만 보정하였을 경우에 규칙적인 운동 실천하기(adjusted odds ratio [aOR], 2.28; 95% confidence interval [CI], 1.15–4.76; P-value=0.02), 건강한 음식 바르게 먹기(aOR, 2.75; 95% CI, 1.27–6.65; P-value=0.01), 적극적인 삶 살기(aOR, 2.93; 95% CI, 1.26–8.01; P-value=0.02),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시간(aOR, 1.92; 95% CI, 1.01–3.67)이 임상지표의 수 증가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Table 3). 후진소거법으로 무의미한 변수를 제외한 경우에도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유의미했던 네 가지 건강습관은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Supplement 2).

Table 3

Odds ratio for the association of health habit with the number of well-controlled clinical outcomes adjusted by age and sex

Odds ratio2.5%97.5%P-value
Model 1
≥65 y1.400.722.740.32
Female1.260.662.480.49
Regular exercisein maintenance stage2.281.154.760.02
Model 2
≥65 y1.430.752.800.28
Female1.190.622.340.61
Balanced dietin maintenance stage2.751.276.650.01
Model 3
≥65 y1.460.772.850.25
Female1.200.632.360.58
Proactive livingin maintenance stage2.931.268.010.02
Model 4
≥65 y1.570.823.040.17
Female1.140.592.250.70
Helping othersin maintenance stage1.921.013.670.05

Model is consisted of each habit which is significant at univariate analysis.



각 건강습관 사이에 상관성이 클 것으로 예상하고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던 4가지 건강습관에 대하여 다른 건강습관과의 관계를 카이제곱검정을 시행했을 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Table 4).

Table 4

Correlation between each 4 health habits analyzed by chi-square testa

Habit 20(n=113)1(n=149)P-valueHabit 30(n=86)1(n=176)P-valueHabit 40(n=71)1(n=191)P-value
Habit 3<0.001Habit 2<0.001Habit 2<0.001
064 (56.6)22 (14.8)064 (74.4)49 (27.8)054 (76.1)59 (30.9)
149 (43.4)127 (85.2)122 (25.6)127 (72.2)117 (23.9)132 (69.1)
Habit 4<0.001Habit 4<0.001Habit 3<0.001
054 (47.8)17 (11.4)052 (60.5)19 (10.8)052 (73.2)34 (17.8)
159 (52.2)132 (88.6)134 (39.5)157 (89.2)119 (26.8)157 (82.2)
Habit 60.002Habit 6<0.001Habit 6<0.001
077 (68.1)72 (48.3)066 (76.7)83 (47.2)059 (83.1)90 (47.1)
136 (31.9)77 (51.7)120 (23.3)93 (52.8)112 (16.9)101 (52.9)

Habit 2 = regular exercise, Habit 3 = balanced diet, Habit 4 = proactive living, Habit 6 = helping others.

a0 = Not in maintenance stage, 1 = In maintenance stage.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유의했던 네 가지 건강습관에 대하여 복약순응도와의 독립적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하위그룹분석을 시행하였다. 꾸준히 약물 복용하기가 유지 단계인 군에서 잘 조절되는 질환이 증가한 군에서 오히려 고령의 비율이 높았으나 규칙적인 운동 실천하기, 균형잡힌 식단 바르게 먹기가 유지 단계인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아 약물을 복용하는 군에서도 연령군과 성별을 보정하여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던 이 연구의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5).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도 규칙적인 운동 실천하기와 균형잡힌 식단 바르게 먹기, 적극적인 삶 살기를 유지하였을 때, 조절되는 임상지표의 숫자가 증가하였다(규칙적인 운동 실천하기: P-value, 0.03; 건강한 음식 바르게 먹기: P-value, 0.03; 적극적인 삶 살기: P-value, 0.04) (Supplement 3). 후진소거법을 시행한 후에는 네 가지 건강습관이 유의한 변수로 남았고, 꾸준히 약물 복용하기는 무의미한 변수로 제외되었다(Supplement 4).

Table 5

Univariate analysis for the association of health habit with the number of well-controlled clinical outcomes or not by subgroup analysis of medication

MedicationMaintenance stageNot maintenance stage



Well-controlled clinical outcomeNot increased(n=195)Increased(n=48)P-valueNot increased(n=18)Increased(n=1)P-value
Age (y)0.217>0.999
≥65100 (51.3)30 (62.5)6 (33.3)0 (0.0)
Sex0.828>0.999
Female116 (59.5)30 (62.5)10 (55.6)1 (100.0)
Positive thinking0.1950.779
In maintenance stage147 (75.4)41 (85.4)6 (33.3)1 (100.0)
Regular exercise0.0470.581
In maintenance stage109 (55.9)35 (72.9)4 (22.2)1 (100.0)
Balanced diet0.0430.581
In maintenance stage131 (67.2)40 (83.3)4 (22.2)1 (100.0)
Proactive living0.0530.779
In maintenance stage142 (72.8)42 (87.5)6 (33.3)1 (100.0)
Regular check-ups0.3050.870
In maintenance stage170 (87.2)45 (93.8)7 (38.9)1 (100.0)
Helping others0.053>0.999
In maintenance stage81 (41.5)28 (58.3)4 (22.2)0 (0.0)
Regular religious life0.2870.870
In maintenance stage111 (56.9)32 (66.7)7 (38.9)1 (100.0)
Quitting smoking>0.999>0.999
In maintenance stage181 (92.8)45 (93.8)14 (77.8)1 (100.0)
Cutting back on alcohol0.835>0.999
In maintenance stage170 (87.2)43 (89.6)10 (55.6)1 (100.0)
Work-life balance0.442>0.999
In maintenance stage150 (76.9)40 (83.3)4 (22.2)0 (0.0)
Living with loved ones0.3420.466
In maintenance stage166 (85.1)44 (91.7)3 (16.7)1 (100.0)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고 찰

건강습관을 유지하는 것과 6개월 후의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의 조절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이 연구에서 규칙적인 운동 실천하기, 건강한 음식 바르게 먹기, 적극적인 삶 살기,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시간을 각각 유지하는 경우에 세 가지 질환 중 조절되는 질환의 숫자가 증가하는 비율이 높았고 복약순응도가 우수한 경우에도 같은 경향이 있었다.

운동을 하는 것이 혈압과 혈당의 조절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여러 논문을 통해서 밝혀져 있다. 저밀도콜레스테롤의 조절에 대한 운동의 효과는 논란이 있지만 고밀도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포함한 혈중지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어 이상지질혈증 환자들에게 권고되고 있다.21-23) 운동이 세 가지 질환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 연구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실천하는 군에서 세 가지 질환 중 조절되는 질환의 수가 증가한 것과 일치하는 내용이다.

식습관이 대사증후군과 심혈관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 또한 논문에서 밝혀진 바 있다. 지중해식 식단이 다른 생활습관개선으로 인한 효과를 보정한 후에도 대사증후군을 잘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연구결과가 있고, 미국심장협회의 가이드라인에서도 건강한 식단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2,3) 건강한 음식 바르게 먹기를 실천한 경우 종합적인 질환의 상태가 개선되는 이 연구결과는 이전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의 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는 많았지만, 환자의 적극적인 삶의 자세가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고혈압과 긍정적인 태도, 적극적인 의사소통, A형 행동유형과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는 있으나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다.24-26) 이전 연구에서 적극적인 삶 살기와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사이의 관련성이 흔히 연구되지 않았으나 이번 연구에서 이 세 가지 질환들의 종합적인 조절과의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시간을 유지하는 경우에도 조절되는 질환의 숫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는데, 50세를 초과한 인구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지난 1년간 최소 200시간 이상의 봉사활동을 한 경우 4년 뒤 고혈압이 발생할 확률이 낮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고혈압 외에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종합적인 면에서는 도움이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27)

꾸준히 약물 복용하기를 보정한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에서도 규칙적인 운동 실천하기와 건강한 음식 바르게 먹기를 유지한 군에서 유의하게 조절되는 질환의 수가 증가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운동의 수축기 혈압에 대한 정량적인 효과나 당화혈색소에 대한 정량적인 효과가 약물치료와 비슷했다는 것을 고려하면21) 종합적인 질환 관리의 측면에서도 복약순응도와 무관하게 건강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대상자 집단은 2018년 발표된 당뇨병 Fact sheet의 2016년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중 한 가지 이상의 질환에 대하여 치료받고 있는 사람들의 분포와 비교했을 때 당뇨병의 비율이 높고,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은 낮은 편이었으며, 특히 고혈압의 유병률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당뇨병 39.3% (표본) vs 28.85% (실제), 고혈압 55% vs 72.9%, 이상지질혈증 50.4% vs 58.57%).12) 생활습관이 저밀도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이 명확하지 않은 점22,23)을 고려하면 일반인구집단과 비교하여 이상지질혈증의 비율이 낮아 결과를 과대평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으나, 각 질환의 조절 여부만을 판단기준으로 하여 개별질환의 특성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건강습관이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의 개선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절되는 임상지표 숫자의 차이를 종속변수로 삼았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 시작 시점에 잘 조절되던 임상지표를 6개월 후에도 잘 유지한 경우, 조절되는 임상지표의 숫자가 증가하지 않아 건강습관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 건강습관이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이 조절되는 상태로 유지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볼 수 있다. 또한, 건강습관과 개별질환 사이의 인과관계는 밝힐 수 없었고, 6개월 동안에 있을 수 있는 다른 교란요인들을 보정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건강습관을 두 가지 이상 포함한 경우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아 단일 건강습관의 독립적인 영향을 알 수 없었는데, 이는 한 가지 건강습관을 잘 유지하는 사람이 다른 건강습관도 유지하는 비율이 높았던 것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상지질혈증에서 운동 단독으로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했으나 식습관과 병행했을 때는 유의했다는 논문을 참고할 때,23) 건강습관의 조합에 따라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 환자들의 건강습관을 평가할 때 지난 6개월간 건강습관을 잘 실천했는지 묻는 설문지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회상비뚤림이 있을 수 있다. 꾸준히 약물 복용하기가 유지 단계인 경우 이미 습관화된 행동이므로 복약순응도가 우수할 개연성은 있지만 정량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가정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연구 시작 시점의 TTM 단계와의 연관성을 분석했기 때문에 연구 기간 동안 TTM 단계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표본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건강습관이 개별 질환에 미치는 영향 대신 종합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고, 충분한 표본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 임상지표의 결측을 제외하지 않고 조절되지 않음으로 치환하였다. 이 경우에 실제로는 질환을 앓지 않아 조절되는 수준의 값을 가지고 있음에도 검사를 하지 않아 잘 조절되지 않음으로 분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한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개인에서 잘 조절되는 임상지표 숫자의 차이를 종합적인 만성질환을 반영하는 지표로 이용하였고, 차이가 0인 경우를 개선되지 않은 군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중 한 가지 이상의 질환을 보유한 환자에게서 규칙적인 운동 실천하기, 건강한 음식 바르게 먹기, 적극적인 삶 살기,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시간이 종합적인 만성질환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지만, 해당 건강습관들을 유지할 경우 약물 복용 중에도 건강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기존에 환자들에게 권유하던 생활습관교정에 더하여 적극적인 삶 살기와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시간 갖기를 권고해볼 수 있다.

Supplementary Materials
kjfp-11-1-74-supple.pdf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he Korea Health Technology R&D Project through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and fun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public of Korea (grant number HI16C0455).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Shin HY, Lee JY, Kim JE, Lee S, Youn H, Kim H, et al. Cause-of-death statistics in 2016 in the Republic of Korea. J Korean Med Assoc 2018; 61: 573-84.
    CrossRef
  2. Arnett DK, Blumenthal RS, Albert MA, Buroker AB, Goldberger ZD, Hahn EJ, et al. 2019 ACC/AHA Guideline on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irculation 2019; 140: e596-646.
    Pubmed KoreaMed CrossRef
  3. Ros E, Martínez-González MA, Estruch R, Salas-Salvadó J, Fitó M, Martínez JA, et al. Mediterranean diet and cardiovascular health: teachings of the PREDIMED study. Adv Nutr 2014; 5: 330S-6S.
    Pubmed KoreaMed CrossRef
  4. Jeong SW, Kim SH, Kang SH, Kim HJ, Yoon CH, Youn TJ, et al. Mortality reduction with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cardiovascular disease. Eur Heart J 2019; 40: 3547-55.
    Pubmed KoreaMed CrossRef
  5. Forouhi NG, Krauss RM, Taubes G, Willett W. Dietary fat and cardiometabolic health: evidence, controversies, and consensus for guidance. BMJ 2018; 361: k2139.
    Pubmed KoreaMed CrossRef
  6. Shin HS, Oh JE, Cho YJ.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cessation period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en. Asia Pac J Public Health 2018; 30: 415-24.
    Pubmed CrossRef
  7. Arafat Y, Mohamed Ibrahim MI, Awaisu A, Colagiuri S, Owusu Y, Morisky DE, et al. Us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s stages of change to predict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 a primary health care setting. Daru 2019; 27: 91-9.
    Pubmed KoreaMed CrossRef
  8. Partapsingh VA, Maharaj RG, Rawlins JM. Applying the Stages of Change model to Type 2 diabetes care in Trinidad: a randomised trial. J Negat Results Biomed 2011; 10: 13.
    Pubmed KoreaMed CrossRef
  9. Willey C. Behavior-changing methods for improving adherence to medication. Curr Hypertens Rep 1999; 1: 477-81.
    Pubmed CrossRef
  10. Rhee EJ. Prevalence and current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based on fact sheets. Endocrinol Metab (Seoul) 2020; 35: 85-94.
    Pubmed KoreaMed CrossRef
  11. Garralda-Del-Villar M, Carlos-Chillerón S, Diaz-Gutierrez J, Ruiz-Canela M, Gea A, Martínez-González MA, et al. Healthy lifestyle and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SUN cohort. Nutrients 2018; 11: 65.
    Pubmed KoreaMed CrossRef
  12. VanWormer JJ, Boucher JL, Sidebottom AC, Sillah A, Knickelbine T. Lifestyle changes and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Heart of New Ulm Project. Prev Med Rep 2017; 6: 242-5.
    Pubmed KoreaMed CrossRef
  13. Yun YH, Kang E, Cho YM, Park SM, Kim YJ, Lee HY, et al. Efficacy of an electronic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risk: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Med Internet Res 2020; 22: e15057.
    Pubmed KoreaMed CrossRef
  14. Yun YH, Sim JA, Jung JY, Noh DY, Lee ES, Kim YW, et al. The association of self-leadership, health behaviors, and posttraumatic growth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Psychooncology 2014; 23: 1423-30.
    Pubmed CrossRef
  15. Choi WH, Seo YM, Ha Y. Evaluation of factors related to glycaemic control among South Korea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t J Nurs Pract 2018; 24: e12616.
    Pubmed KoreaMed CrossRef
  16. Novello MF, Rosa ML, Ferreira RT, Nunes IG, Jorge AJ, Correia DM, et al. Compliance with the prescription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and blood pressure control in primary care. Arq Bras Cardiol 2017; 108: 135-42.
    Pubmed KoreaMed CrossRef
  17. Waßmuth S, Rohe K, Noack F, Noutsias M, Treede H, Schlitt A. Adherence to lipid-lowering therapy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from the state of Saxony-Anhalt, Germany. Vasc Health Risk Manag 2019; 15: 477-83.
    Pubmed KoreaMed CrossRef
  18. Hau C, Reid KF, Wong KF, Chin RJ, Botto TJ, Eliasziw M, et al. Collaborative evaluation of the healthy habits program: an effective community intervention to improve mobility and cognition of Chinese older adults living in the U.S. J Nutr Health Aging 2016; 20: 391-7.
    Pubmed CrossRef
  19. Yoo S, Kim H, Cho HI. Improvements in the metabolic syndrome and stages of change for lifestyle behaviors in Korean older adults. Osong Public Health Res Perspect 2012; 3: 85-93.
    Pubmed KoreaMed CrossRef
  20. Karsten MDA, van Oers AM, Groen H, Mutsaerts MAQ, van Poppel MNM, Geelen A, et al. Determinants of successful lifestyle change during a 6-month preconception lifestyle intervention in women with obesity and infertility. Eur J Nutr 2019; 58: 2463-75.
    Pubmed KoreaMed CrossRef
  21. Stewart KJ. Exercise training and the cardiovascular consequences of type 2 diabetes and hypertension: plausible mechanisms for improving cardiovascular health. JAMA 2002; 288: 1622-31.
    Pubmed CrossRef
  22. Hansen D, Niebauer J, Cornelissen V, Barna O, Neunhäuserer D, Stettler C, et al. Exercise prescription in patient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EXPERT working group. Sports Med 2018; 48: 1781-97.
    Pubmed CrossRef
  23. Albarrati AM, Alghamdi MSM, Nazer RI, Alkorashy MM, Alshowier N, Gale N. Effectiveness of low to moderate physical exercise training on the level of low-density lipoproteins: a systematic review. Biomed Res Int 2018; 2018: 5982980.
    Pubmed KoreaMed CrossRef
  24. Mommersteeg PM, Pouwer F. Personality as a risk factor for the metabolic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J Psychosom Res 2012; 73: 326-33.
    Pubmed CrossRef
  25. Heisler M. Actively engaging patients in treatment decision making and monitoring as a strategy to improve hypertension outcomes in diabetes mellitus. Circulation 2008; 117: 1355-7.
    Pubmed CrossRef
  26. Alefishat EA, Abu Farha RK, Al-Debei MM. Self-reported adherence among individuals at high risk of metabolic syndrome: effect of knowledge and attitude. Med Princ Pract 2017; 26: 157-63.
    Pubmed KoreaMed CrossRef
  27. Sneed RS, Cohen S. A prospective study of volunteerism and hypertension risk in older adults. Psychol Aging 2013; 28: 578-86.
    Pubmed KoreaMed CrossRef


This Article


Author ORCID Information

Funding Information

Services
Social Network Service

e-submission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