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Fam Pract 2021; 11(3): 217-220  https://doi.org/10.21215/kjfp.2021.11.3.217
A Case of Adenocarcinoma Developed in the Terminal Ileum Presenting Elevated Carcinoembryonic Antigen
Seung Hun Lee1,2,3, Jeong Gyu Lee1,3,4,*
1Center for Health Promotio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Busan Regional Hospice Center, Busan; 3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Yangsan; 4Medical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Korea
Jeong Gyu Lee
Tel: +82-51-240-7834, Fax: +82-51-240-7843
E-mail: jeklee@pusan.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1-7160-0714
Received: April 28, 2021; Revised: May 12, 2021; Accepted: May 14, 2021; Published online: June 20, 2021.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Malignant neoplasm of the small intestine is a relatively rare disease. Because the early manifestation of symptoms in patients with cancer of the small intestine is non-specific, diagnosis is often delayed. An asymptomatic 55-year-old male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for routine check-up.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were unremarkable, and the blood test parameter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except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level, which was elevated. Stool occult blood test was negative. In the follow-up examination, an increase in serum CEA was observed, and colonoscopy revealed a mass-like lesion in the terminal ileum. Biopsy findings confirmed the mass to be an adenocarcinoma including signet ring cells. In conclusion, malignant neoplasm of the small intestine is rare. However, early diagnosis may be possible with the follow-up and investigation of non-specific findings such as elevated CEA.
Keywords: Ileal Neoplasms; Carcinoembryonic Antigen; Asymptomatic Diseases; Early Diagnosis; Adenocarcinoma
서 론

소장은 악성종양이 잘 발생하지 않아 전체 위장관 종양 중에 약 3%만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소장암은 주로 십이지장(duodenum) 및 공장(jejunum)에서 발견되고, 회장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주로 60대 이상 남성에서 호발하지만 성별에 따른 발생률 차이는 크지 않다. 가장 흔한 조직형은 선암(adenocarcinoma)이고 대략 40%–50%를 차지한다.2) 소장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은 크론병을 가진 환자에서 일반인들에 비해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 저자들은 이전에 크론병과 같은 악성종양의 위험요인이 없는 50대 무증상 환자에서 우연히 암배아항원(carcinoembryonic antigen, CEA) 상승을 나타내어 진단된 회장말단부에 발생한 선암을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 례

55세 남자가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건강증진센터에 방문하였다. 평소에 소화불량, 구토, 설사, 변비 및 복통 등의 증상은 없었으며 체중감소도 없었다. 2년 전 시행한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장상피화생을 동반한 만성 위축성 위염과 다발성 대장용종 및 게실이 있었으나 회장 말단부의 이상은 없었다(Figure 1). 함께 시행한 복부 computed tomography (CT)에서 간혈관종 및 담낭선근증 외에 특이점은 없었다. 부친이 직장암으로 사망한 가족력이 있었다. 흡연력은 2.5갑년의 이전 흡연자로 약 30년 동안 금연 중이었으며, 주 3회 소주 1병 정도의 음주력이 있었다. 주 3회, 1시간 30분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고 있었다. 이상지질혈증으로 rosuvastatin 10 mg을 복용 중인 것 이외에 약물 복용력은 없었다.

Figure 1. Colonoscopy conducted in 2 years ago. Colonoscopy shows 2 mm, Isp polyp in the proximal ascending colon (A). There were no specific findings were observed in the terminal ileum (B).

신체검사에서 복부에 압통은 없었으며 만져지는 덩이도 없었다. 활력징후는 혈압 116/90 mmHg, 맥박수 72회/분, 호흡수 15회/분, 체온 36.5°C였다. 말초혈액검사에서 혈색소 14.7 g/dL, 백혈구 4,950/mm3 (호중구 48.1%), 혈소판 183,000/mm3이었고, 생화학검사에서 aspartate transaminase 23 IU/L, alanine transaminase 21 IU/L, gamma-glutamyl transferase (GGT) 23 U/L, 총빌리루빈 0.63 mg/dL, 총단백 7.19 g/dL, 알부민 4.60 g/dL, blood urea nitrogen 16.2 mg/dL, 크레아티닌 1.10 mg/dL이었다. 소변검사는 특이점이 없고, 대변잠혈검사는 음성이었다. 종양표지자 검사는 alpha-fetoprotein 3.6 IU/mL, CEA 31.3 ng/mL, carbohydrate antigen 19-9 (CA19-9) 2.0 U/mL, prostate-specific antigen 1.14 ng/mL로 CEA의 상승이 있었다. 2주 뒤 추적검사에서 CEA는 24.7 ng/mL로 약간 감소하였으나 이후 1개월 간격으로 시행한 추적검사에서 53.9 ng/mL, 77.2 ng/mL로 지속 상승하였다. 다른 혈액검사 수치상 변동은 없었다.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회맹판(IC valve)에서 5 cm 정도 상방으로 협착이 있어 더 이상 진입이 되지 않았으며, 협착부위 내부로 발적이 동반된 단단한 종괴성 병변이 관찰되어 조직검사를 진행하였다(Figure 2). 복부 및 골반 CT에서 말단 회장부위에 비교적 불규칙한 벽두께 증가가 있으며 이는 조영 증강되는 양상이었다(Figure 3). 주변부 지방부위의 침윤이 의심되며, 작은 크기의 여러 개의 림프절 종대가 있었다. 흉부 CT에서는 특별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CT에서는 생리적인 점막활동 이외의 특별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Figure 4). 조직검사 결과는 반지세포(signet ring cell component)를 포함한 선암으로 진단되었다.

Figure 2. Colonoscopic findings. Colonoscopy shows stricture 5 cm above the ileocecal valve (A), and biopsy (arrow) performed at a hard mass-like lesion with redness (B).

Figure 3.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CT shows irregular wall thickening in the terminal ileum is accompanied by radiocontrast enhancement (arrow) with around fat infiltration (A) and several small size regional lymph nodes (B).

Figure 4.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findings. PET-CT shows probable physiologic mucosal activity of colon.
고 찰

소장암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고 비특이적 증상들을 나타내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진단이 까다로운 경우가 많다.4) 또한 기존의 내시경만으로 발견하기가 쉽지 않고, 조기진단이 어려워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도 흔하며 이는 나쁜 예후와도 연관된다.2) 소장암의 주된 조직형은 선암(30%–40%), 유암종(carcinoid tumor, 35%–42%), 림프종(15%–20%) 및 육종(sarcoma, 10%–15%) 등 4가지이다.1,5) 소장선암의 가장 흔한 위치는 십이지장(57%)이며, 공장(29%) 및 회장(10%) 순으로 발생한다. 조직학적으로는 환상, 결절 또는 궤양이 있는 병변으로 불규칙하고 부분적인 장 폐쇄를 일으킬 수 있다.5,6) 소장선암의 위험인자로는 크론병, celiac disease, 소장선종, 흡연 및 비만 등이 있다.7)

소장선암을 가진 환자는 비특이적 증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임상증상 등으로 인해 오진되는 경우도 흔하며 진행된 상태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8) 조기진단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으나 아직까지 소장선암과 종양지표간에 뚜렷한 연관성은 없었다. 비록 CA19-9 및 CEA 증가를 보고한 경우가 있었지만 이들은 예후와는 연관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대부분의 소장선암은 면역 조직 화학분석에 의한 CEA에 양성이며, 전이성 또는 국소 진행성 소장 선암 환자의 44%에서 혈청 CEA가 상승되었다고 보고하였다.2) 그러나 아직까지 CEA를 진단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민감도나 특이도가 충분하지 않다. 본 증례와 같이 비교적 건강하고, 최근 2년 이내에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검사를 시행한 경우라도 지속적으로 CEA와 같은 종양표지자가 상승되고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증상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대장내시경 추적 및 영상학적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장선암의 근치적 치료를 위해서는 외과적 절제가 필요하다.9) 진단 시 약 40%의 경우는 전이 등으로 인해 절제가 불가능하다. 외과적 치료의 목적은 국소 림프절을 포함한 광범위한 절제이다.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의 효과는 아직 입증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술이 불가능한 전이나 진행성 환자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최근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과 카페시타빈(capecitabine) 기반요법이 치료반응을 향상시킨다는 보고가 있어 진행된 환자들에게 투여가 가능하다.10)

소장의 선암은 전체 위장관 종양의 3% 정도를 차지하는 드문 질환이다. 본 증례는 무증상인 55세 남자 환자에서 건강검진에서 확인된 종양표지자 상승에 대한 추적 검사를 통해 소장선암이 발견된 1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감사의 글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2-Year Research Grant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Shenoy S. Primary small-bowel malignancy: update in tumor biology, markers, and management strategies. J Gastrointest Cancer 2014; 45: 421-30.
    Pubmed CrossRef
  2. Talamonti MS, Goetz LH, Rao S, Joehl RJ. Primary cancers of the small bowel: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and results of surgical management. Arch Surg 2002; 137: 564-70; discussion 570-1.
    Pubmed CrossRef
  3. Hammami MB, Aboushaar R, Musmar A, Azhar M. Ileal signet ring cell carcinoma masked by Crohn disease. Ochsner J 2020; 20: 323-5.
    Pubmed KoreaMed CrossRef
  4. Ma JLG, Strauss PN. The elusive small bowel adenocarcinoma in the terminal ileum- a case report. Int J Surg Case Rep 2018; 47: 97-9.
    Pubmed KoreaMed CrossRef
  5. Williamson JM, Williamson RC. Small bowel tumors: pathology and management. J Med Assoc Thai 2014; 97: 126-37.
    Pubmed
  6. Candia-de la Rosa RF, Sampayo-Candia R, Bretón-Toral JC, Candia-Archundia F, Candia-García R. [Primary adenocarcinoma of the terminal ileum, synchronous]. Cir Cir 2015; 83: 232-7. Spanish.
    Pubmed CrossRef
  7. Barsouk A, Rawla P, Barsouk A, Thandra KC. Epidemiology of cancers of the small intestine: trends, risk factors, and prevention. Med Sci (Basel) 2019; 7: 46.
    Pubmed KoreaMed CrossRef
  8. Young JI, Mongoue-Tchokote S, Wieghard N, Mori M, Vaccaro GM, Sheppard BC, et al. Treatment and survival of small-bowel adenocarcinoma in the United States: a comparison with colon cancer. Dis Colon Rectum 2016; 59: 306-15.
    Pubmed CrossRef
  9. Locher C, Batumona B, Afchain P, Carrère N, Samalin E, Cellier C, et al. Small bowel adenocarcinoma: French intergroup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diagnosis, treatments and follow-up (SNFGE, FFCD, GERCOR, UNICANCER, SFCD, SFED, SFRO). Dig Liver Dis 2018; 50: 15-9.
    Pubmed CrossRef
  10. Overman MJ, Varadhachary GR, Kopetz S, Adinin R, Lin E, Morris JS, et al.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and oxaliplatin for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mall bowel and ampulla of Vater. J Clin Oncol 2009; 27: 2598-603.
    Pubmed CrossRef


This Article


Author ORCID Information

Funding Information

Services
Social Network Service

e-submission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