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Fam Pract 2022; 12(3): 137-143  https://doi.org/10.21215/kjfp.2022.12.3.137
Association between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and Hand-Grip Strength in South Korean 60 Years of Age or Older: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at Bit Lee, Youn Seon Choi*, Jae Young Park, Jung Goo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Seoul, Korea
Youn Seon Choi
Tel: +82-2-2626-3275, Fax: +82-2-837-9274
E-mail: younseon@korea.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3-2406-5848
Received: August 21, 2022; Revised: April 8, 2022; Accepted: April 27, 2022; Published online: June 20, 2022.
©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mL/min per 1.73 m2]) measured using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equation and hand-grip strength (HGS [kg]) in patients ≥60 years of age in South Korea.
Methods: Our analysis involved 5,165 individual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 to 2018. The participants were aged ≥60 years, and their HGS and serum creatinine levels were measured. Participants diagnosed with cancer were excluded.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eGFR: subgroup 1, eGFR≥90; subgroup 2, 60≤eGFR<90; subgroup 3, 45≤eGFR<60; and subgroup 4, eGFR<45. The participants were also categorized into the stronger and weaker HGS groups based on their average HGS.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hisquared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fter correcting all confounding variable, decreased kidney function was associated with increasing odd ratios for weak HGS in female participant (model 3, P for trend=0.043). Additionally, subgroup 4 (eGFR <45 mL/min per 1.73 m2) showed that the odd ratio for weak HSG was 4.496 (95% CI, 1.422–14.211; P for trend=0.043), when compared to subgroup 1 (eGFR ≥90 mL/min per 1.73 m2) and the stronger HGS group in female participants;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ale participants.
Conclusion: Among the elderly (≥60 years) in South Korean, female patients with an eGFR <45 mL/min per 1.73 m2 exhibit reduced HG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GFR and HGS.
Keywords: Age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Hand-Grip Strength; Sarcopenia
서 론

신장기능은 보통 연령이 증가함에 감소하며 심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등의 여러 만성질환뿐만 아니라 근감소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 실제로 임상에서 만성신부전 환자들은 근감소를 흔히 경험한다.2) 만성신부전과 관련된 병태생리적 변화는 근감소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근육 자체의 생성을 직접적으로 억제시킨다.3) 또한, 만성신부전 환자에서의 대사성산증은 레닌-안지오텐신시스템(renin-angiotensin system)을 활성화하며 이는 만성신부전 환자에서의 골격근의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4,5) 근감소증을 가진 만성신부전 환자는 질환의 예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근감소증은 신부전 환자 사망률의 주요한 예측 인자이기도 하다.6-8)

노인에서의 악력측정은 근력평가와 근감소를 예측하는 가장 간단하고 유용한 측정 방법이며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삶의 질을 평가하는 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의 한 연구에서는 노인의 악력 감소와 인지기능 감소와의 관련성을 밝혔고9) 제2형 당뇨병, 심혈관질환과의 연관성을 밝힌 논문들이 게재되었다. 최근 국내의 한 연구에서는 19세 이상 성인의 악력 감소와 만성신부전 사이의 유의한 관계를 밝힌 논문이 발표된바 있으나10) 한국 노인의 신장기능과 악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16–201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60세 이상의 노인에서 MDRD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을 사용하여 평가 사구체여과율과 악력과의 관계를 파악하려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8년) 자료를 기반으로 한 단면 연구이며 본원의 연구윤리심의위원회 면제 승인을 받아 수행하였다(IRB No.: K2020-1022-001).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6,142명 중 만 60세 이상 노인 6,710명을 우선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혈청 크레아티닌(serum creatinine) 결과가 있는 남녀 중 악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암 병력이 있는 대상 1,545명을 제외하여 남성 2,282명, 여성 2,883명, 총 5,16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건강설문조사와 검진조사를 통해 성별, 나이, 신체계측을 이용한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교육 정도, 결혼 여부, 가계 소득 정도, 흡연, 음주, 근력운동, 고혈압 유병 여부, 당뇨병 유병 여부, 이상지질혈증 유병 여부, 협심증 유병 여부 등을 조사하였고 이와 관련된 혈액검사 결과 자료를 사용하였다. 교육수준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고 결혼 여부는 기혼과 미혼으로 소득수준은 하위 25%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흡연 여부는 평생 흡연량이 담배 5갑 이하인 경우를 포함하여 흡연하지 않는 사람을 비흡연자로, 평생 흡연량이 5갑을 초과하고 현재 흡연하지 않는 경우는 과거 흡연자, 현재 흡연하는 경우는 현재 흡연자로 분류하였다. 음주는 남성의 경우 1회 7잔 이상, 주 2회 이상 음주 시, 여성의 경우 1회 5잔 이상, 주 2회 음주 시 위험음주로 분류하였고 위험음주 이하의 기준으로 음주하는 경우는 적정음주로 분류하였고 마지막으로 “술을 마셔본 적 없음”을 비음주군으로 분류하였다. 고혈압은 2018년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에 준거하여 측정 당시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 mmHg 이상으로 정의하였고11) 현재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는 자를 고혈압군에 포함하였다. 당뇨병은 8시간 이상 공복혈당 126 이상 또는 당뇨병으로 진단받았거나, 약 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 투여중인 경우 당뇨병군으로 포함하였다. 이상지질혈증에 대해서는 2018년도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의 한국인의 이상지질혈증 진단기준12)에 따라 8시간 이상 공복인 경우에서 총콜레스테롤이 240 mg/dL 이상이거나 고밀도콜레스테롤이 40 mg/dL 이하이거나 저밀도콜레스테롤이 160 mg/dL 이상인 경우, 12시간 이상 공복인 경우에서 중성지방이 200 mg/dL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상지질혈증으로 의사의 진단을 받았거나 이상지질혈증 약을 복용중인 경우는 모두 이상지질혈증군으로 포함했다. 협심증은 의사진단 여부에 따라 “있음”과 “없음”으로 나누었다. 근력운동 여부는 최근 1주일 동안 팔굽혀펴기, 윗몸 일으키기, 아령, 역기, 철봉 등의 근력운동을 2일 이상 실천한 경우를 근력운동군으로 분류하였고 체질량지수는 측정한 체중(kg)을 신장의 제곱(m2)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하였다. 악력검사는 디지털 악력계(digital grip strength dynamometer, T.K.K 5401; Takei Scientific Instruments Co., Niigata, Japan)를 사용하였고 양손 교대로 3회씩 총 6회 측정하여 최대값을 최종 악력 값으로 사용하였다. 악력검사 측정 대상자의 경우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년) 검진조사 지침서에 따라 시진 및 문진을 통하여 악력을 측정하기 어려운 기능상의 제약이 있거나 암진단의 과거력, 최근 3개월 이내 손목 수술병력이나 통증 등의 불편감이 조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시진 항목은 팔, 손, 엄지손가락의 결손, 엄지손가락 외 다른 손가락의 결손 및 골절, 손의 마비, 손, 손목의 깁스 또는 붕대 등 여부를 포함하였고 설문조사 항목은 최근 3개월 이내 손, 손목 수술 병력, 관절염 및 손목터널증후군 수술 병력, 주관적 조사참여 가능 여부, 최근 7일 이내 손의 통증, 쑤심, 뻣뻣함 경험 또는 악화 등으로 구성되어 악력 측정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신장기능평가를 위한 평가 사구체여과율 계산에는 MDRD를 적용하여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186×(serum creatinine in mg/dL)-1.154×(Age)-0.203×(0.742 if female, mL/min per 1.73 m2)로 계산하였고13) 평가 사구체여과율 범위에 따라 총 4개의 하위그룹으로 분류하였다(subgroup 1=eGFR≥90; subgroup 2=60≤eGFR<90; subgroup 3=45≤eGFR<60; subgroup 4=eGFR<45). 악력의 경우 2008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된 노인실태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남성노인의 평균 악력 31.1 kg, 여성노인 평균 19.1 kg14)을 기준으로 평균 이하 악력그룹(weaker hand-grip strength [HGS] group)과 평균 이상 악력그룹(stronger HGS group), 총 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인구학적 특성 변수(나이, 교육 정도, 결혼 여부, 가계 소득[하위 25%], 체질량지수[BMI], 흡연, 고위험 음주, 고혈압 유병 여부, 당뇨 유병 여부, 이상지질혈증 유병 여부, 협심증 유병 여부, 사구체여과율)를 반영하여 참조 그룹(reference group)을 chronic kidney disease subgroup 1 (eGFR≥90 mL/min per 1.73 m2)으로 하여 평균 이하 악력그룹(weaker HGS group)과 평균 이상 악력그룹(stronger HGS group)을 비교하였고 특히 eGFR<45 하위그룹의 분포는 평균 이하 악력군이 평균 이상 악력군보다 남녀 모두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고 eGFR≥90군의 비율은 평균 이상 악력그룹이 평균 이하 악력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관련 요인의 자세한 수치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Table 1

Basic characteristics of elderly subjects according to hand-grip strength groups (age≥60)

CharacteristicMale (n=2,282)Female (n=2,883)
Weaker HGS group
(n=691)
Stronger HGS group
(n=1,591)
P-valueWeaker HGS group (n=1,054)Stronger HGS group
(n=1,829)
P-value
Age (y)72.74±0.3366.71±0.15<0.001b73.60±0.2667.62±0.18<0.001b
Education (high school)237 (34.3)836 (52.6)<0.001b121 (11.5)483 (26.4)<0.001b
Marital status (married)681 (98.6)1,578 (99.2)0.220387 (36.7)851 (46.5)0.384
Income (the lowest 25%)223 (32.4)330 (20.8)<0.001b310 (29.4)437 (23.9)0.035a
BMI (kg/m2)23.08±0.01224.36±0.07<0.001b24.26±0.1224.59±0.10<0.001b
Under weight45 (6.6)19 (1.2)59 (5.6)26 (1.4)
Normal weight434 (62.9)836 (52.6)607 (57.6)995 (54.4)
Over weight210 (30.4)735 (46.2)388 (36.8)836 (44.2)
Current smoking214 (31.1)442 (27.8)0.208493 (46.8)946 (50.0)0.738
High-risk drinking158 (22.9)448 (28.2)0.11617 (1.6)46 (2.5)0.428
Hypertension417 (60.4)867 (54.5)0.071702 (66.6)977 (53.4)<0.001b
Diabetes mellitus190 (27.6)374 (23.5)0.108294 (27.9)359 (19.0)<0.001b
Dyslipidemia400 (58.0)993 (62.4)0.064700 (66.4)1,218 (66.6)0.915
Angina36 (5.3)97 (6.1)0.4647 (4)66 (3.6)0.668
Strength exercise (≥2 times/wk)117 (17.0)522 (32.8)<0.001b66 (6.3)260 (14.2)<0.001b
eGFR (mL/min per 1.73 m2)84.51±0.9685.41±0.550.87485.35±0.8288.43±0.600.021a
Subgroup 1 (≥90)254 (36.9)622 (39.1)0.015a424 (40.2)799 (43.7)<0.001b
Subgroup 2 (60 to <90)371 (53.7)836 (55.7)521 (49.4)904 (49.4)
Subgroup 3 (45 to <60)50 (7.3)65 (4.1)76 (7.2)66 (3.6)
Subgroup 4 (<45)14 (2.1)18 (1.1)34 (3.2)22 (1.2)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for continuous variables or number (%) for categorical variables.

Diabetes mellitus: fasting blood glucose (>8 h) ≥126 or diagnosis and current usage of drug or insulin injection, High-risk drinking: drinking more than twice a week and at least 7 cups at a time in males and at least 5 cups at a time in females, Hypertension: current usage of antihypertensive drug or ≥140 mmHg systolic blood pressure, or ≥90 mmHg diastolic blood pressure, Dyslipidemia: diagnosis and current usage of drug, or total cholesterol ≥240, or triglyceride ≥200, or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40, or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160.

eGF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HGS, hand-grip strength; BMI, body mass index.

P-value by independent t-test for continuous variables and by χ2-test for categorical variable.

aP<0.05, bP<0.01.



또한, 평균 이하 악력군과(weaker HGS group) 평균 이상 악력군(stronger HGS group)에서 평가 사구체여과율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교차비를 구하였다. 평균 이상 악력그룹과 subgroup 1: eGFR≥90 (mL/min per 1.73 m2)군을 참조 그룹으로 하였고 평균 이하 악력그룹(weaker HGS group)을 종속변수로 가정하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보정하여 각 Model간 교차비를 산출하였다. 현재 흡연과 위험음주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교차비 도출 모델 보정 변수에서 제외하였다(Table 2).

Table 2

Adjusted OR (95% CI) for weaker hand-grip strength group by eGFR (mL/min per 1.73 m2) subgroup

ModeleGFR subgroupMaleFemale
OR95% CIP-valueOR95% CIP-value
LowerUpperPFor trendLowerUpperPFor trend
Model 11Reference0.011aReference<0.001b
21.0210.8801.3020.8701.1370.9571.3500.143
31.875a1.1583.0360.011a2.278b1.5693.3070.000b
42.1260.9814.6040.0563.164b1.6586.0380.001b
Model 21Reference0.55Reference0.016a
20.6890.5260.9020.0070.740a0.6090.9000.003a
30.6980.3971.2260.2100.8940.5661.4110.629
40.8100.3831.7150.5811.1890.5912.3940.626
Model 31Reference0.207Reference0.043a
21.0270.6331.6680.9131.0970.7711.5600.605
31.8720.5734.5560.1671.5700.7223.4130.254
42.5040.5078.3220.3124.496a1.42214.2110.011a

eGFR (mL/min per 1.73 m2) subgroup 1: eGFR≥90; subgroup 2: 60≤eGFR<90; subgroup 3: 45≤eGFR<60; subgroup 4: eGFR<45. Model 1: unadjusted. Model 2: adjusted for age. Model 3: adjusted for age, marital status (married), education (high school), Income (the lowest 25%), strength exercise (≥2 times/wk), body mass index,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dyslipidemia, angina, and eGFR (mL/min per 1.73 m2).

eGF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OR, odds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aP<0.05, bP<0.01.



1. 통계 분석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3개년도 자료의 통합 분석 시 조사부문별 기본 가중치, 연관성분석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7기(2016–2018년) 통합가중치, 층, 집락을 생성하였고 SPSS Statistics 22 프로그램(IBM Co., Armonk, NY, USA)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60세 이상 노인 남녀 평균 이하 악력그룹(weaker HGS group), 평균 이상 악력그룹(stronger HGS group), 두 그룹 간의 비교에는 평가 사구체여과율, 사구체여과율 하위그룹(eGFR subgroup)과 함께 인구학적 특성변수, 건강행태, 만성질환, 심혈관질환, 신체계측을 변수로 하여 카이제곱검정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남녀 노인의 평균 이하 악력군(weaker HGS group)과 평가 사구체여과율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3가지 Model을 설계하였다. 참조군은 평균 이상 악력군(stronger HGS group)으로 설정하였다. Model 1은 변수를 보정하지 않았고 Model 2는 나이를 보정하고 Model 3은 연령, 결혼, 교육수준, 가계 소득수준, 일주일간 근력 운동 횟수,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협심증, 체질량지수와 평가 사구체여과율을 보정하여 교차비(odds ratio, OR)를 산출하였다. 각 Model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95% CI)을 계산하였고 매 분석 시 양측검정을 적용하여 통계적 유의수준 P-value<0.05로 정의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연구 전체 대상자는 총 5,165명이었고 남성이 2,282명, 여성이 2,883명이었다. 남성 중에 평균 이하 악력그룹(weaker HGS group)은 대상자 남성의 약 30%인 691명, 평균 이상 악력그룹(stronger HGS group)은 대상자 남성의 약70%인 1,591명이었고 여성 중에 평균 이하 악력그룹은 대상자 여성의 약 37%인 1,054명, 평균 이상 악력그룹은 대상자 여성의 약 63%인 1,829명이었다. 인구학적 특성 변수에서는 남녀 모두 평균 이하 악력그룹군에서 유의하게 연령이 높았고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은 평균 이하 악력그룹에서 유의하게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소득 하위 25%의 분포는 평균 이하 악력군에서 평균 이상 악력군과 비교했을 때 높게 나타났다. 체질량지수는 남녀 모두에서 평균 이상 악력군보다 평균 이하 악력군의 평균 체질량지수가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고 저체중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건강행태부문에서는 주 2회 이상 근력운동 횟수는 평균 이하 악력군에서 평균 이상 악력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만성질환 중에서는 여성에서만 고혈압, 당뇨병이 평균 이하 악력그룹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였고 남성에서는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가 사구체여과율 평균값은 여성에서는 평균 이하 악력군이 85.35 (mL/min per 1.73 m2) 표준오차 0.82로 유의미하게 평균 이상 악력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남성에서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하위 평가 사구체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1).

2. 평가 사구체여과율 그룹 간 남녀 평균 악력비교

평가 사구체여과율 하위그룹에 따라 신뢰구간 95%, 표준오차(P-value Male=0.015, Female≤0.01)를 포함하여 남녀의 평균 악력을 구하였고 하위그룹 1 (eGFR≥90 mL/min per 1.73 m2)의 경우 남성 35.283 kg, 여성 20.772 kg, 하위그룹 2 (60≤eGFR<90 mL/min per 1.73 m2)의 경우 남성 35.416 kg, 여성 20.674 kg, 하위그룹 3 (45≤eGFR<60 mL/min per 1.73 m2), 하위그룹 4 (eGFR<45 mL/min per 1.73 m2)는 각각 남성 32.643 kg, 31.444 kg, 여성 18.454 kg, 17.442 kg으로 나타났다. 평가 사구체여과율 하위그룹 1, 2 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평가 사구체여과율 60 (mL/min per 1.73 m2) 이하 구간에서부터 악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ure 1).

Figure 1. Mean hand-grip strength by eGFR subgroups.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error.
eGF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mL/min per 1.73 m2).

3. 악력과 평가 사구체여과율(eGFR)과의 교차비

평균 이하 악력군과 평균 이상 악력군에서 평가 사구체여과율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변수를 보정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모델을 세웠다. 변수를 보정하지 않은 로지스틱 회귀모형 Model 1 결과는 남성에서 subgroup 3 (45≤eGFR<60 mL/min per 1.73 m2)군에서 교차비 1.875 (95% CI, 1.158–3.036; P for trend=0.011)로 유의하였고 나머지 그룹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여성에서는 subgroup 3 (45≤eGFR<60 mL/min per 1.73 m2)군에서 교차비 2.278 (95% CI, 1.569–3.307; P for trend=0.000), subgroup 4 (eGFR<45 mL/min per 1.73 m2)군에서 교차비 3.164 (95% CI, 1.658–6.038; P for trend=0.000)로 유의하였다. 나이를 보정한 Model 2에서는 남성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여성에서는 subgroup 2 (60≤eGFR<90 mL/min per 1.73 m2)군에서만 교차비 0.740 (95% CI, 0.609–0.900; P for trend=0.016)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른 모든 변인들을 보정한 Model 3는 여성 subgroup 4 (eGFR<45 mL/min per 1.73 m2)군에서 평균 이상 악력그룹군, subgroup 1 (eGFR≥90 mL/min per 1.73 m2)군을 참조군으로 하였을 때 4.496 (95% CI, 1.422–14.211; P for trend=0.043)의 교차비를 보였다.

고 찰

본 연구는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60세 이상 한국노인에서 평가 사구체여과율과 악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60세 이상의 노인에서 평균 이상 악력군과 subgroup 1 (eGFR≥90 mL/min per 1.73 m2)을 참조군으로 하여 관련 변수들을 모두 보정하였을 때 남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여성에서는 신기능이 감소할수록 악력저하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Model 3, P for trend=0.043). 또한, subgroup 4 (eGFR<45 mL/min per 1.73 m2)군에서 교차비 4.496 (95% CI, 1.422–14.211; P for trend value=0.043)로 유의하게 나타나 평균 이상 악력군과 eGFR≥90 (mL/min per 1.73 m2)군 대비 악력저하의 위험이 4배 이상임을 보여주었다. 이는 남성보다 eGFR<45 (mL/min per 1.73 m2)의 신기능 저하 여성에서 평가 사구체여과율이 악력저하에 중요한 위험요인임을 나타낸다.

단순 노화로 인한 근감소증과는 다른 만성신부전환자에게서 일어나는 2차적 근감소증의 기전을 밝히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있어왔고 2021년 Journal of Nephrology에 발표된 Sabatino 등15)의 만성신부전환자의 근감소증연구에 따르면 노화관련 근감소증과는 달리 신부전 환자관련 2차 근감소증의 경우단백질 감소(protein degradation)가 증가되어 있다는 것을 밝혔다. 만성신부전 환자의 단백질 감소의 원인으로는 질병 그 자체, 투석 과정에서 발생되는 아미노산의 전구물질의 유실, 만성적인 염증상태 등이 만성신부전 환자의 단백질 생성을 감소시키고 음의 단백질 균형을 일으킨다.16-18) 또한, 대사성산증, 인슐린 저항성과 비타민 D 결핍 역시 단백질 이화작용을 촉진하고 단백질 생성을 억제시키며 특히 대사성산증의 경우 caspase-3와 ubiquitin-proteasome systems를 통한 세포 내 단백질 감소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19,20) 이외에도 testosterone, insulin growth factor (IGF-1), growth hormone (GH) 등의 호르몬의 전구체가 되는 아미노산들이 투석으로 인해 소실되고 이러한 호르몬 감소가 근감소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21)

본 연구의 경우 60세 이상 여성 subgroup 4 (eGFR<45 mL/min per 1.73 m2)군에서만 악력저하의 위험성을 유의하게 밝혔다. 신기능이 감소된 60세 이상 노인에서 근감소를 일으키는 원인은 남녀간 다양할 수 있겠으나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측해 보자면 고혈압 당뇨 합병증을 동반한 신기능 저하의 환자의 경우 대사성산증과 인슐린저항성의 위험도가 더 높고 그렇지 않은 신기능 저하 환자보다 2차적인 단백질 감소(protein degradation)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이와 연관하여 본 연구의 교차분석(Table 1)을 해석해보자면 60세 이상 노인 여성에서만 고혈압, 당뇨병이 평균 이상 악력군과 평균 이하 악력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점에서 여성에서만 subgroup 4 (eGFR<45 mL/min per 1.73 m2)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교차비 값을 도출한 것이라 추측해 볼 수 있겠다. 또한, 노인의 악력 저하에 영향을 주는 우울증, 인지기능 저하22,23) 등의 신경정신과적 변수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진 않았을까 추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와 반대로 Cheung 등24)의 50세 이상 홍콩인을 대상으로 한 악력저하와 만성질환 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연구에서 관련 변수(연령, 체질량지수, 교육수준, 흡연력, 결혼 여부, 다른 만성질환 동반 여부, 만성폐쇄성폐질환)를 보정하였을 때 남성에서만 eGFR<60 (mL/min per 1.73 m2)군이 악력저하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2020년 국내의 연구에서 19세 이상의 성인에서 악력과 신부전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연구에서는 연령, 고혈압, 당뇨병, 비만을 보정 하였을 때 eGFR<60 (mL/min per 1.73 m2)군의 남성에서만 교차비 1.910로 악력저하의 위험요인임을 보였다.10) 이는 대상군의 설정, 독립변수 설정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악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이라 추측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지닌다. 첫째,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한 단면 조사로, 대상군의 변수간 관련성을 알 수 있지만 평가 사구체여과율과 악력감소의 선후 관계나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는 없다. 둘째, 악력에서 노쇠평가의 다양한 기준이 존재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악력저하의 기준으로 2008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된 노인실태조사결과를 참조하여 악력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셋째, 악력검사의 경우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년) 검진조사 지침서에 따라 시진 및 문진을 통하여 악력을 측정하기 어려운 기능상의 제약이나 관절염 및 손목터널 증후군 수술병력 등을 반영하여 대상자를 선별하였으나 노인 악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뇌혈관질환, 근골격계 질환, 우울증, 인지기능 저하의 변수24)를 배제 또는 통계적 보정에 반영하지 못하였다. 넷째, 노인에서의 간질환, 영양결핍 등의 요소를 반영하기 위해 serum albumin을 보정하여 정확한 평가 사구체여과율을 계산할 수 있었으나 데이터의 부재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장점으로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60세 이상 인구의 대규모 층화 자료를 바탕으로 노인에서 평가 사구체여과율과 악력감소와의 관계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변수, 건강행태, 만성질환, 심혈관질환, 신체계측, 사구체여과율 하위그룹의 변수를 충실히 반영하여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바탕으로 60세 이상 노인 여성에게 평가 사구체여과율 eGFR<45 (mL/min per 1.73 m2)에서 악력저하 위험이 높다는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향후 이번 연구의 제한점을 보강하여 전향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노인의 신장기능 감소로 인한 악력감소와 이에 따른 기능저하를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Yun HR, Kim H, Park JT, Chang TI, Yoo TH, Kang SW, et al. Obesity, metabolic abnormality, and progression of CKD. Am J Kidney Dis 2018; 72: 400-10.
    Pubmed CrossRef
  2. Souza VA, Oliveira D, Barbosa SR, Corrêa JODA, Colugnati FAB, Mansur HN, et al. Sarcopenia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not yet on dialysis: analysis of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PLoS One 2017; 12: e0176230.
    Pubmed KoreaMed CrossRef
  3. Moon SJ, Kim TH, Yoon SY, Chung JH, Hwang HJ. Relationship between stage of chronic kidney disease and sarcopenia in Korean aged 40 years and older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IV-2, 3, and V-1, 2), 2008-2011. PLoS One 2015; 10: e0130740.
    Pubmed KoreaMed CrossRef
  4. Song YH, Li Y, Du J, Mitch WE, Rosenthal N, Delafontaine P. Muscle-specific expression of IGF-1 blocks angiotensin II-induced skeletal muscle wasting. J Clin Invest 2005; 115: 451-8.
    Pubmed KoreaMed CrossRef
  5. Fahal IH. Uraemic sarcopenia: aetiology and implications. Nephrol Dial Transplant 2014; 29: 1655-65.
    Pubmed CrossRef
  6. Pereira RA, Cordeiro AC, Avesani CM, Carrero JJ, Lindholm B, Amparo FC, et al. Sarcopenia in chronic kidney disease on conservative therapy: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mortality. Nephrol Dial Transplant 2015; 30: 1718-25.
    Pubmed CrossRef
  7. Hwang SH, Lee DH, Min J, Jeon JY. Handgrip strength as a predictor of all-cause morta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undergoing dialysis: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J Ren Nutr 2019; 29: 471-9.
    Pubmed CrossRef
  8. Cho M, Kim H, Ko HY, Lee JK. The association between hand grip strength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the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Fam Pract 2019; 9: 44-50.
    CrossRef
  9. Lee S.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 grip strength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the moderating effect of regular exercis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14; 25: 29-37.
    CrossRef
  10. Lee YL, Jin H, Lim JY, Lee SY. Relationship between low handgrip strength and chronic kidney disease: KNHANES 2014-2017. J Ren Nutr 2021; 31: 57-63.
    Pubmed CrossRef
  11.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Clinical guideline of hypertension, 2018. Seoul: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18. p. 14-6.
    CrossRef
  12. Committe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f the Korean Society of Lipid and Atherosclerosis (KSoLA). Kor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emia. 4th ed. Seoul: The Korean Society of Lipid and Atherosclerosis; 2018. p. 31-4.
    CrossRef
  13. Jeong TD, Lee W, Chun S, Lee SK, Ryu JS, Min WK, et al. Comparison of the MDRD study and CKD-EPI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the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010. Kidney Blood Press Res 2013; 37: 443-50.
    Pubmed CrossRef
  14.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2008.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9. p. 389-92.
    CrossRef
  15. Sabatino A, Cuppari L, Stenvinkel P, Lindholm B, Avesani CM. Sarcopenia in chronic kidney disease: what have we learned so far? J Nephrol 2021; 34: 1347-72.
    Pubmed KoreaMed CrossRef
  16. Raj DS, Sun Y, Tzamaloukas AH. Hypercatabolism in dialysis patients. Curr Opin Nephrol Hypertens 2008; 17: 589-94.
    Pubmed CrossRef
  17. Deleaval P, Luaire B, Laffay P, Jambut-Cadon D, Stauss-Grabo M, Canaud B, et al. Short-term effects of branched-chain amino acids-enriched dialysis fluid on branched-chain amino acids plasma level and mass balance: a randomized cross-over study. J Ren Nutr 2020; 30: 61-8.
    Pubmed CrossRef
  18. Honda H, Qureshi AR, Axelsson J, Heimburger O, Suliman ME, Barany P, et al. Obese sarcopenia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is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and increased mortality. Am J Clin Nutr 2007; 86: 633-8.
    Pubmed CrossRef
  19. Molina P, Carrero JJ, Bover J, Chauveau P, Mazzaferro S, Torres PU. Vitamin D, a modulator of musculoskeletal health in chronic kidney disease. J Cachexia Sarcopenia Muscle 2017; 8: 686-701.
    Pubmed KoreaMed CrossRef
  20. Bailey JL, Wang X, England BK, Price SR, Ding X, Mitch WE. The acidosis of chronic renal failure activates muscle proteolysis in rats by augmenting transcription of genes encoding proteins of the ATP-dependent ubiquitin-proteasome pathway. J Clin Invest 1996; 97: 1447-53.
    Pubmed KoreaMed CrossRef
  21. Hu Z, Wang H, Lee IH, Du J, Mitch WE. Endogenous glucocorticoids and impaired insulin signaling are both required to stimulate muscle wasting under pathophysiological conditions in mice. J Clin Invest 2009; 119: 3059-69.
    Pubmed KoreaMed CrossRef
  22. Lee IH, Kong JY, Jin YY, Kang H. Associations of physical frailty with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women.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t 2017; 24: 245-53.
    CrossRef
  23. Oh BT, Hwang YS, Lee JY, Park SK, Hong SW, Suh YS, et al. Factors related with hand grip strength in Korean elderly. Korean J Clin Geri 2017; 18: 22-9.
    CrossRef
  24. Cheung CL, Nguyen US, Au E, Tan KC, Kung AW. Association of handgrip strength with chronic diseases and multimorbidity: a cross-sectional study. Age (Dordr) 2013; 35: 929-41.
    Pubmed KoreaMed CrossRef


This Article

e-submission

Archives